본문 바로가기

남해충렬사 - 이충무공을 추모하는 사당

by 넥스루비 2007. 8. 7.

경남 남해군 설천면 노량리 350번지

남해대교를 지나 왼쪽 구릉 언덕바지에 울창한 숲이 보이고 충렬사는 그 속에 자리잡고 있다.
오로지 구국제민(救國齊民)의 일념으로 왜적과 싸워 이기고 장렬하게 순국한 성웅 이 충무공을 360여년간 봉안하고 추모해온 유서깊은 사당이다.

충무공 이순신(1545∼1598)은 본관이 덕수(悳水)요 자가 여해(汝諧)로 고려 인종 원년(元年, 1545) 4월 28일 서울 건천동(현 仁峴洞 1街 부근)에서 중랑장(中郞將) 이돈수의 12대손으로 태어났다.
어린시절 희신, 요신 두 형을 따라 학문을 닦았으나 천성이 호탕하고 강직 한지라 23세때부터 무예를 배워 32세때 비로소 무과에 오르게 되어 54세 되던 선조 31년 11월 19일 새벽 남해 노량 앞바다 관음포 해전에서 승첩을 하고도 왜적의 유탄으로 순국하셨다.

충무공의 유해는 관음포의 이락사(李落祠)의 자리에 안치된다.
안치된 기간은 지금 알길이 없으나 고금도 본영을 거쳐 이듬해 (1599년) 2월 11일 아산 금성산록에 모셨다가 그로부터 16년 갑인년(甲寅年, 광해군 6년,1614)에 그 곁 어라산 아래로 모셨다고 하니 운구(運柩)와 고금도 본영 영결제 등 한달을 잡더라도 약 2개월 간에 걸쳐 이락사 자리와 지금의 충렬사 자리에 충무공의 영구가 안치되었으리라 추측된다.

충무공의 사후, 아무런 조치가 없는 일에 분개한 향토인 김여빈과 고승후등이 앞장서서 숭정 무진년(崇禎 戊辰年, 1678)에 공의 유덕을 추앙하는 원근방의 사인(士人)들과 힘을 모아 김여빈의 머슴들을 거느리고 초가집 한 칸으로 처음 사당을 세웠다는 기록이 정조 3년 기해년(己亥年, 1779)에 도유사 유상렬이 쓴 현판 「충렬사 창건기」에 남아있다.

1633년(인조 11) 남해현령 이정건이 충민공비를 세워 제사를 올렸으니 이것이 충렬사의 효시이다.
효종9년(1658) 김여빈 등이 올린 소장(疏狀)으로 인하여 어사 민정중은 즉시 당시의 통제사 정익으로 하여금 사우(祠宇)를 새로 고쳐 짓게 하였다.
현종 2년(1661)에는 의정부 우찬성 송시열이 짓고, 의정부 좌참찬(左參贊) 송준길이 쓴 「충렬사묘비」를 통제사 박경지와 김시성이 세운다.

댓글

최신글 전체

이미지
제목
글쓴이
등록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