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예산군 삽교읍
이 불상< 佛像 >은 부근의 관촉사< 灌燭寺 > 미륵불상< 彌勒佛像 >이나 대조사< 大鳥寺 > 불상< 佛像 > 등과 유사한 지방화한 양식을 보여주는 고려시대< 高麗時代 > 작품이다. 괴체화< 塊體化 >된 신체는 양감< 量感 >의 표현이 투박스러운 느낌을 주며, 간단한 옷주름만을 표현한 천의< 天衣 > 역시 투박스런 기법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거의 사각형의 평면적인 얼굴은 눈이나 입 등에 미소를 표현하여 딱딱한 얼굴을 한결 부드럽게 해 주고 있다. 오른손은 가슴에 들어 석장< 錫杖 > 같은 것을 잡고 있는데 이 석장은 양 발 사이로 내려와 대석< 臺石 >에까지 이르고 있다. 이 보살상< 菩薩像 >은 고려시대< 高麗時代 >의 지방화< 地方化 >한 불상양식< 佛像樣式 >을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작품으로 고려조각사< 高麗彫刻史 >에서 차지하는 의의가 자못 높은 편이다.
이 불상< 佛像 >은 부근의 관촉사< 灌燭寺 > 미륵불상< 彌勒佛像 >이나 대조사< 大鳥寺 > 불상< 佛像 > 등과 유사한 지방화한 양식을 보여주는 고려시대< 高麗時代 > 작품이다. 괴체화< 塊體化 >된 신체는 양감< 量感 >의 표현이 투박스러운 느낌을 주며, 간단한 옷주름만을 표현한 천의< 天衣 > 역시 투박스런 기법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거의 사각형의 평면적인 얼굴은 눈이나 입 등에 미소를 표현하여 딱딱한 얼굴을 한결 부드럽게 해 주고 있다. 오른손은 가슴에 들어 석장< 錫杖 > 같은 것을 잡고 있는데 이 석장은 양 발 사이로 내려와 대석< 臺石 >에까지 이르고 있다. 이 보살상< 菩薩像 >은 고려시대< 高麗時代 >의 지방화< 地方化 >한 불상양식< 佛像樣式 >을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작품으로 고려조각사< 高麗彫刻史 >에서 차지하는 의의가 자못 높은 편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