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당진군 송악면 금곡리 산50
송악면 금곡리 한음 이덕형의 영정을 모신 한음영당이 있다. 한음 이덕형은 조선 명종 16년(1561)에 태어나 광해군 5년(1613)까지 사신 조선중기의 뛰어난 문신으로 자는 명보<明甫> 호는 한음<漢蔭>, 쌍송<雙松>, 포옹산인<抱雍散人>,시호는 문익<文翼>이다. 선조 13년(1580)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 승문원에 보직되고, 이어 정자<正字>를 거쳐 1583년 사가독서<사暇讀書>를 하였다. 이듬해에 박사가 되고 수찬, 교리, 대사성을 역임 1592년 31세로 예조참판에 올라 대제학을 겸임하였다.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동지중추부사로 일본사신 겐소,야니 가오 등과 화전을 교섭하였으나 실패하였다. 그후 왕을 호종 정주에 이르러 청원사가 되어 명나라에 건너가 원병을 요청 지원군 파견을 성사시켰다. 귀국후 한성부 판윤에 오르고 명나라 원병이 들어오자 명장 이여송의 접반관으로 전쟁중 그와 행동을 같이했다. 1593년 병조판서에 승진, 1598년 우의정에 승진 이어 좌의정에 올라 훈련도감 도제조를 겸했다. 1601년 행판중추부사로 경상, 전라, 충청, 강원도 4도 도체찰사가 되어 전쟁후의 민심수습과 군대의 정비에 노력하는 한편 대마도 정벌을 건의했으나 허락받지 못했다. 1602년 영의정에 승진 1606년 한때 영중추부사의 한직에 밀려났다가 1608년 광해군이 즉위하자 진주사로 명나라에 다녀와서 다시 영의정에 복직, 광해군 5년(1613년) 영창대군의 처형과 폐모론을 반대하다가 삭지<削職>, 양근에 내려가 세상을 마쳤다. 인조때 복관<復官>되었고 포천의 용연서원, 상주의 근암서원에 제향되었다. 글씨에 뛰어났으며 저서로 한음문고가 있다.
송악면 금곡리 한음 이덕형의 영정을 모신 한음영당이 있다. 한음 이덕형은 조선 명종 16년(1561)에 태어나 광해군 5년(1613)까지 사신 조선중기의 뛰어난 문신으로 자는 명보<明甫> 호는 한음<漢蔭>, 쌍송<雙松>, 포옹산인<抱雍散人>,시호는 문익<文翼>이다. 선조 13년(1580)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 승문원에 보직되고, 이어 정자<正字>를 거쳐 1583년 사가독서<사暇讀書>를 하였다. 이듬해에 박사가 되고 수찬, 교리, 대사성을 역임 1592년 31세로 예조참판에 올라 대제학을 겸임하였다.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동지중추부사로 일본사신 겐소,야니 가오 등과 화전을 교섭하였으나 실패하였다. 그후 왕을 호종 정주에 이르러 청원사가 되어 명나라에 건너가 원병을 요청 지원군 파견을 성사시켰다. 귀국후 한성부 판윤에 오르고 명나라 원병이 들어오자 명장 이여송의 접반관으로 전쟁중 그와 행동을 같이했다. 1593년 병조판서에 승진, 1598년 우의정에 승진 이어 좌의정에 올라 훈련도감 도제조를 겸했다. 1601년 행판중추부사로 경상, 전라, 충청, 강원도 4도 도체찰사가 되어 전쟁후의 민심수습과 군대의 정비에 노력하는 한편 대마도 정벌을 건의했으나 허락받지 못했다. 1602년 영의정에 승진 1606년 한때 영중추부사의 한직에 밀려났다가 1608년 광해군이 즉위하자 진주사로 명나라에 다녀와서 다시 영의정에 복직, 광해군 5년(1613년) 영창대군의 처형과 폐모론을 반대하다가 삭지<削職>, 양근에 내려가 세상을 마쳤다. 인조때 복관<復官>되었고 포천의 용연서원, 상주의 근암서원에 제향되었다. 글씨에 뛰어났으며 저서로 한음문고가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