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당진군 면천면 성하리
거대한 바위에 높은 돋을새김한 이 불상은 고려시대< 高麗時代 >의 지방양식< 地方樣式 > 마애불을 대표할 만한 거작< 巨作 >이다. 머리에는 육계< 肉계 >가 팽이처럼 묘사되었고, 얼굴은 네모나면서도 우람하며, 눈과 입은 길고 큼직한 뿐더러 다소 서투르게 표현하여 전반적으로 둔중< 鈍重 >한 느낌을 주고 있다. 세련미는 부족하나 친근미< 親近美 > 나는 조형성은 고려시대부터 유행한 지방양식으로 이 불상의 얼굴에 유난히 드러나고 있다. 상체는 건장하나 움츠린 사각형이며, 결가부좌< 結跏趺坐 >한 무릎 또한 높고 넓어 얼굴과 함께 둔중성을 강조하고 있다. 불의< 佛衣 >는 Y자 내의< 內衣 > 위에 대의< 大衣 >를 걸치고 있는데, 굵은 선조< 線條 > 옷주름이 마멸 때문에 선명하게 표현되지 못하고 있다. 이처럼 이 불상은 건장하고 우람한 거불이지만 둔중하고 친근미 나는 지방양식의 불상으로 주목되는 고려시대 마애불이다.
거대한 바위에 높은 돋을새김한 이 불상은 고려시대< 高麗時代 >의 지방양식< 地方樣式 > 마애불을 대표할 만한 거작< 巨作 >이다. 머리에는 육계< 肉계 >가 팽이처럼 묘사되었고, 얼굴은 네모나면서도 우람하며, 눈과 입은 길고 큼직한 뿐더러 다소 서투르게 표현하여 전반적으로 둔중< 鈍重 >한 느낌을 주고 있다. 세련미는 부족하나 친근미< 親近美 > 나는 조형성은 고려시대부터 유행한 지방양식으로 이 불상의 얼굴에 유난히 드러나고 있다. 상체는 건장하나 움츠린 사각형이며, 결가부좌< 結跏趺坐 >한 무릎 또한 높고 넓어 얼굴과 함께 둔중성을 강조하고 있다. 불의< 佛衣 >는 Y자 내의< 內衣 > 위에 대의< 大衣 >를 걸치고 있는데, 굵은 선조< 線條 > 옷주름이 마멸 때문에 선명하게 표현되지 못하고 있다. 이처럼 이 불상은 건장하고 우람한 거불이지만 둔중하고 친근미 나는 지방양식의 불상으로 주목되는 고려시대 마애불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