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 산1 상원사
상원사 동종은 국보 제36호로 신라 성덕왕 24년에 평사 피각군에 명하여 만들어진 높이 1.67m에 이르는 종으로, 우리 나라에서 가장 오래되고, 아름다운 종이며 음향이 낭랑하기가 비할 데 없다.
종신에 있는 당초문이나 보살상의 유려한 조각은 한국종의 특징을 가장 전형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데, 종신에는 아래 위에 견대와 구연대가 있어 당초문으로 차 있으며, 드문드문 한 사람 내지 네 사람이 주악천을 양각하였다.
또한 상대되는 두 곳에 주악비천상을 나타냈다. 하늘에 날리는 천의와 영락의 표현은 이를 데 없이 경쾌하며 비천상 사이에는 원형의 당좌가 조각되어 있다.
상부의 용두는 두부를 크게 표현했으며 발톱이나 비늘 등의 조각은 살아 움직이는 느낌이다. 용 두 좌우에는 종명이 음각돼 있어 조성연대를 나타내고 있다. 종을 보호하기 위해 타종을 금하고 있다.
현존< 現存 >하는 한국종< 韓國鐘 > 중에서 가장 오래되고 제일 아름다운 이 종은 신라< 新羅 > 성덕왕< 聖德王 > 24년(725)에 조성< 造成 >되어 조선< 朝鮮 > 예종< 睿宗 > 원년< 元年 >(1469)에 상원사< 上院寺 >에 옮겨진 것으로, 한국종의 고유한 특색을 모두 갖추고 있는 대표적인 범종< 梵鐘 >이다. 음통< 音筒 >이 있는 종뉴< 鐘유 > 아래에 안으로 오므라든 종신< 鐘身 >이 연결된 형태인데, 이상적인 비례와 안정감 있는 구조, 풍부한 양감< 量感 >과 함께 세부적인 묘사수법도 매우 사실적이다. 종신에 있는 상대< 上帶 >·하대< 下帶 >, 4유곽< 乳廓 >의 문양은 모두 당초문< 唐草紋 >을 바탕으로 2∼4인의 작은 주악비천상< 奏樂飛天像 >이 있는 반원권문< 半圓圈紋 >이 새겨졌고, 종복< 鐘腹 >에 비천상과 교대로 있는 당좌< 撞座 >는 8엽< 葉 >의 단판연화문< 單瓣蓮華紋 >으로 표현되었다. 특히 비천상은 경쾌하기 이를데 없는 모습으로 구름 위에서 천의< 天衣 > 자락을 흩날리며 공후< 공후 >와 생< 笙 >을 연주하고 있는데, 볼록한 두 뺨, 유연한 신체에 걸친 천의 등은 8세기 전반의 이상적< 理想的 > 사실풍< 寫實風 >의 불교조각< 佛敎彫刻 > 양식을 잘 반영해 주고 있다. 이러한 상원사 종에 보이는 음통, 안으로 오므라든 종신형, 상대·하대, 4유곽의 구조적인 특징은 한국종의 전형< 典型 >이 되어, 양식적인 변천과정을 거치면서 이후의 모든 종에 계승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