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창 임방울 선생이 득음을 위하여 소리 연습을 했다는 만연폭포를 곁에 거느린 고려시대 사찰. 고려 희종 4년(1208년)에 만연선사가 세웠다고 하며 창건설화가 전해져 온다.
만연선사가 무등산 원효사에서 수도를 마치고 조계산 송광사로 돌아가는 도중에 이 곳에 이르러 잠시 쉬어가고자 앉은 사이 잠이 들었다. 꿈에 16나한이 석가모니불을 모시는 역사를 하고 있었다. 잠을 깨 사방을 둘러보니 어느새 눈이 내려 주위에 쌓였는데 신기하게도 만연선사가 누운 자리에만 눈이 쌓이지 않고 눈이 녹아 김이 피어 오르고 있는 것이었다. 만연선사는 그 길로 이곳에 토굴을 짓고 수도를 하다가 절을 세웠다.
이 절은 6.25 이전까지 대웅전 시왕전 나한전 승당 선당 동상실 서상실 동병실 서별실 수정료 송월료 등 3전 8방과 설루, 사천왕문, 삼청각이 있던 대찰이었다고 한다. 부속암자로는 학당암 침계암 동림암 연혈암이 있었다고 한다. 모두 6.25 때 불에 타 버리고 말았다.
1978년 이후 대웅전 나한전 명부전 한산전 요사채가 복원되었고 암자로는 선정암과 성주암이 있다. 경내에는 1783년에 제작된 도지정 문화재 185로 괘불이 있다.
다산 정약용 선생이 젊은 시절 이 절 동림암에서 잠시 머물렀다고 한다. 국창 임방울 선생이 득음을 위해 이 곳에서 동쪽으로 2km 지점에 있는 만연폭포에서 피나는 수련을 했다고 한다. 숲과 계곡의 물이 좋아 사람들이 즐겨찾는 곳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