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예천지방은 주변의 안동·영주·함창지역과 더불어 독특한 민요권을 형성하고 있어 경상도에서는 개성이 뚜렷한 고장이다. 통명농요엔 모심을 때의 1. 아부레이수나 2. 돔소, 논맬때의 1. 애벌매기 2. 긴상사 3. 방해 4. 에히요홍, 장원질 때의 캥마쿵쿵노세 및 잘개타작 때의 봉헤소리가 있다. 아부레이수나는 쌍을 짓는다는 뜻의 예천 방언으로 모심을 적의 작업모습을 형용한다. 비슷한 유형이 영풍군에서도 수집되지만 전파범위가 좁아, 예천군내에서도 공처농요의 이여송아 형< 型 >이 아부레이수나보다 우세한 편이다. 캥마쿵쿵노세는 예천군내의 중부·북부지역이 중심이 되어 그 인접군에까지 알려진 '쾌장아 후질칠노세'의 통명 형이며 봉헤소리는 이웃한 함창방면에서 흔하게 수집된다. 통명농요는 경상도 모노래권< 圈 >에 둘러싸여 있으면서도 전혀 다른 모심는 소리지대를 이루고 있는 점, 유장한 애벌매기 곡< 曲 >안에다 꼴두의 사잇말을 집어넣은 점, 마을로 들어오면서 칭칭이 대신 캥마쿵쿵 노세를 부르는 점, 에히요홍과 봉헤소리가 있는 점, 도(레)미솔 선법이 지배적인 점 및 메김소리꾼의 소리마중과 'ㅎ' 마찰음을 즐기는 점 등이 특징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