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갑사강당 - 기교를 부리지 않은 웅장한 조선시대 건축

by 넥스루비 2007. 8. 7.

충남 공주시 계룡면 중장리

갑사의 해탈문과 대웅전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이 강당은 원래 승려들이 법문을 강론하던 건물로 맞배지붕에 정면 3칸 측면 3칸의 다포집이다.
기단은 자연할석으로 낮게 쌓고 입구에는 계단을 설치했다. 주초(柱礎)도 자연석을 이용하였다.

중앙의 어칸(御間)에는 3구, 양쪽 협칸(夾間)에는 2구씩의 공포를 배치하고, 내·외2출목이며 포작(包作)의 구성은 앞뒤면이 같다. 기둥은 배흘림을 주어 안정감이 있다. 단청은 완전 퇴색되어 무늬의 흔적이 남아 있을 뿐이며, 창틀은 개수되어 원형이 아니다.
계룡갑사(鷄龍甲寺)라는 현판이 붙어 있으며 현판글씨는 절도사 홍재희(洪在羲)가 썼다.(추사파 글씨로 추정)
전체적으로 가구(架構)에 기교를 부리지 않은 웅장한 조선시대 건축이다.

정면 3칸, 측면 3칸 다포식, 맞배지붕의 건물로 조선시대 후기의 강당. 본래는 누문(樓門) 이었을 터인데 지금은 단층 맞배집으로 개축된 듯하다.
자연석 기단 위에 배흘림 둥근기둥을 세운 뒤 그 위에 창방을 짜 올렸다. 정면 어간 기둥사이 아래쪽에 머름중방을 설치하였으나 문설주에 달은 문짝은 많이 변형되어 있다. 양 옆칸의 문미(門楣) 바로 위에는 교창(交窓)이 있다.
가구는 평방 위에 안팍 2출목으로 공포를 짜 올려 도리를 받친다. 공포의 모양은 외부첨차의 쇠서가 비교적 곧바르고 내부 살미첨차는 운궁형(雲宮形)으로 만들어 연꽃을 조각하였다.

전내엔 팔상전에 봉안되었어야 할 후불탱화 1폭이 있는데 비로 인해 하단부 손실이 크나 조선말기의 채색화로서 진경시대(眞景時代)의 전통을 충실히 계승한 훌륭한 불화이다.
1910년 일본에 강제 합병될 때 금어(金魚) 금호약효(錦湖若效)에 의해 그려진 그림으로 더욱 의의가 깊다.

댓글

최신글 전체

이미지
제목
글쓴이
등록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