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207
이 불전은 석가반여불을 주불로 봉안하고 좌우 주위에서 석가의 승자인 16 대 나한상을 봉안하고 있다.
한국 사원의 가람구조는 청정도량에서 출발한다. 청정도량에 불보살을 봉안한 것이거나 불보살이 계신곳을 청정화한 것 이다. 우선 장중한 불상을 접함으로써 불보에 대한 신앙심을 일으키고 법의 내용 을 담은 경전을 접함으로써 법보에 대한 구체적인 신앙심을 갖는 것이다. 뿐만아니라 절에 가면 반드시 스님을 만나게 되는 것이니 승보신앙에 대한 구체화라 할 수 있다.
이같은 삼보에 대한 신앙의 경향이 가람의 형성과 신앙행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 중이 불전은 승보신앙에 의해 수 도승에 대한 신앙을 나타내는 성격을 띤다. 신라 문성왕 2년(840)에 진감선사가 창건하였고 조선 인조 19년(1641)벽암 선사가 중수하였다.
건물은 정면 3칸,측면 2칸의 삼량구조 맞배지붕을 한 익공계 건물이다.
이 불전은 석가반여불을 주불로 봉안하고 좌우 주위에서 석가의 승자인 16 대 나한상을 봉안하고 있다.
한국 사원의 가람구조는 청정도량에서 출발한다. 청정도량에 불보살을 봉안한 것이거나 불보살이 계신곳을 청정화한 것 이다. 우선 장중한 불상을 접함으로써 불보에 대한 신앙심을 일으키고 법의 내용 을 담은 경전을 접함으로써 법보에 대한 구체적인 신앙심을 갖는 것이다. 뿐만아니라 절에 가면 반드시 스님을 만나게 되는 것이니 승보신앙에 대한 구체화라 할 수 있다.
이같은 삼보에 대한 신앙의 경향이 가람의 형성과 신앙행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 중이 불전은 승보신앙에 의해 수 도승에 대한 신앙을 나타내는 성격을 띤다. 신라 문성왕 2년(840)에 진감선사가 창건하였고 조선 인조 19년(1641)벽암 선사가 중수하였다.
건물은 정면 3칸,측면 2칸의 삼량구조 맞배지붕을 한 익공계 건물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