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공주시 사곡면 운암리 567
오층석탑 동쪽 심검당<尋劍堂>의 툇마루에 자리하고 있는 동종으로 종<鐘> 몸에 있는 주성기<鑄成記>에 의하여 순치<順治> 11년(조선 효종 5년 1654) 충청도 대흥<忠淸道 大興>의 안곡사<安谷寺>에서 주성<鑄成>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동종의 유<유 >에는 두 마리의 용<龍>이 조각되었고 종<鐘> 몸체 어깨의 4곳에는 유곽<乳廓>을 배치하면서 유곽<乳廓>사이사이와 종신부<鐘身部>의 중앙 4곳에 상하 각각 원형 두광<頭光>을 가진 보살상<菩薩像>을 양각하였다. 유곽의 내구<內區>에는 9개의 유두<乳頭>가 돌출하고 종 몸체의 상대<上帶>에는 두줄기의 방형대<方形帶>를 만들어 그 안에 원권<圓圈>을 마련하고 범자문<梵字文>을 놓았으며 하대<下帶>는 연화<蓮花>와 보상화문<寶相花文>을 교차시킨 당초문대<唐草文帶>로 구성하였다. 크지는 않으나 제작연대와 장소를 확실히 알 수 있는 중요한 종이라 하겠다.
오층석탑 동쪽 심검당<尋劍堂>의 툇마루에 자리하고 있는 동종으로 종<鐘> 몸에 있는 주성기<鑄成記>에 의하여 순치<順治> 11년(조선 효종 5년 1654) 충청도 대흥<忠淸道 大興>의 안곡사<安谷寺>에서 주성<鑄成>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동종의 유<유 >에는 두 마리의 용<龍>이 조각되었고 종<鐘> 몸체 어깨의 4곳에는 유곽<乳廓>을 배치하면서 유곽<乳廓>사이사이와 종신부<鐘身部>의 중앙 4곳에 상하 각각 원형 두광<頭光>을 가진 보살상<菩薩像>을 양각하였다. 유곽의 내구<內區>에는 9개의 유두<乳頭>가 돌출하고 종 몸체의 상대<上帶>에는 두줄기의 방형대<方形帶>를 만들어 그 안에 원권<圓圈>을 마련하고 범자문<梵字文>을 놓았으며 하대<下帶>는 연화<蓮花>와 보상화문<寶相花文>을 교차시킨 당초문대<唐草文帶>로 구성하였다. 크지는 않으나 제작연대와 장소를 확실히 알 수 있는 중요한 종이라 하겠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