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묵헌종택 - 배치형태가 개방적이며, 지역적인 특색을 잘 나타내...

by 넥스루비 2007. 8. 7.
경북 칠곡군 왜관읍 석전1리 580-2

이 건물의 정침<正寢>과 사랑채는 문익공<文翼公> 이원정<李元禎>(1622∼1680)의 자<子>인 이한명<李漢命>(1651∼1681)이 1670년에 건립하였고, 사당<祠堂>은 5대손<代孫>인 묵헌 이만운<默軒 李萬運> 사후<死後> 유림<儒林>의 뜻에 따라 1820년에 건립하였다. 원래 대문채와 방앗간채도 있었다고 하며, 대문채는 '97년 1월 복원하였다. 묵헌 이만운<默軒 李萬運>(1736∼1820)은 퇴계<退溪>-한강<寒崗>-문익공<文翼公>을 잇는 정통 성리학자이며, 우리 국학<國學>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는 "증보동국문헌비고<增補東國文獻備考>" 등을 편찬하였다. 정침<正寢> 정면<正面> 7칸, 측면<側面> 3칸의 ∩자형으로 되어 있다. 대청<大廳> 후면<後面>에는 각 칸마다 영쌍창이 있었으나, 설주홈만 남아있던 것을 '97년 1월 복원하였다. 사당<祠堂>은 정면<正面> 3칸, 측면<側面> 1칸의 맞배지붕으로 되어 있다. 이 건물들은 배치형태가 개방적이며, 지역적인 특색을 잘 나타내주고 있다.

댓글

최신글 전체

이미지
제목
글쓴이
등록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