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청도군 이서면 금촌리 374
이 공신교서< 功臣敎書 >는 만력< 萬曆 >32년< 年 > 즉 선조< 宣祖 >37년< 年 >(1604) 10월< 月 >에 국왕< 國王 >이 임진왜란< 壬辰倭亂 > 때 특히 옥포해전< 玉浦海戰 >에서 혁혁< 赫赫 >한 무공< 武功 >을 세운 식성군< 息城君 > 이운용< 李雲龍 >에게 선무공신< 宣武功臣 > 3등< 等 >을 내린 상훈교서< 賞勳敎書 >이다. 이운용< 李雲龍 >(1562∼1610)은 자< 字 >는 경견< 景見 >, 호< 號 >는 동계< 東溪 >, 본관< 本貫 >은 재령< 載寧 >, 남해현령< 南海縣令 > 몽상< 夢祥 >의 아들이다. 선조< 宣祖 >18년< 年 >(1585) 무과< 武科 >에 급제< 及第 >, 선전관< 宣傳官 >을 거쳐 선조< 宣祖 >22년< 年 >(1589)에 옥포만호< 玉浦萬戶 >로 임명되었다. 임진왜란< 壬辰倭亂 >이 일어나자 패전< 敗戰 >한 경상우도< 慶尙右道 > 수군절도사< 水軍節度使 > 원균< 元均 >이 도망하려는 것을 저지하고 전라좌도< 全羅左道 > 수군절도사< 水軍節度使 > 이순신< 李舜臣 >에게 원병을 청하도록 건의하여 내원< 來援 >한 수군< 水軍 >과 합세하여 옥포해전< 玉浦海戰 >에서 적함< 賊艦 > 50여척을 격침< 擊沈 >시켜 임진란< 壬辰亂 > 최초의 승전< 勝戰 >을 거두었다. 그 뒤 사천< 泗川 >, 한산< 閑山 >, 안골포< 安骨浦 >, 부산포< 釜山浦 > 등 여러 해전< 海戰 >에 참가하여 남해< 南海 >의 제해권< 制海權 >을 장악하는데 큰 공을 세웠으며, 선조< 宣祖 >29년< 年 >(1596) 이순신< 李舜臣 >이 천거< 薦擧 >하여 경상좌도< 慶尙左道 > 수군절도사< 水軍節度使 >에 임명< 任命 >되어 전쟁이 끝날 때까지 경상도< 慶尙道 >의 수군< 水軍 >을 주도< 主導 >하였다. 선조< 宣祖 >37년< 年 >(1604)에 선무공신< 宣武功臣 > 3등에 책록되고 식성군< 息城君 >에 봉해졌으며 선조< 宣祖 >38년< 年 >(1605) 내직< 內職 >으로는 도총부< 都摠府 > 부총관< 副摠管 > ·포도대장겸화기제조< 捕盜大將兼火器提調 > ·비변사당상< 備邊司堂上 >을 지내고, 외직< 外職 >으로는 삼도수군통제사< 三道水軍統制使 >를 지냈다. 선조< 宣祖 >40년< 年 >(1607) 함경도병마사< 咸鏡道兵馬使 >에 임명< 任命 >되어 국가의 중요 군직에서 활동하여 많은 공적을 남겼으며 병조판서< 兵曹判書 >에 추증< 追贈 >되었다. 교서< 敎書 >의 내용은 이운용< 李雲龍 >이 임란< 壬亂 >때 옥포해전< 玉浦海戰 >에서 왜군< 倭軍 >과 대적하여 크게 격파하고 승전< 勝戰 >한 무공< 武功 >을 찬양하면서 선무공신< 宣武功臣 > 삼등< 三等 >으로 책훈< 策勳 >하고 포상< 褒賞 >으로 도상< 圖像 >을 그려 후세< 後世 >에 길이 남기고 일계급< 一階級 >의 작위< 爵位 >를 올리고, 부모< 父母 > ·처자< 妻子 >도 일계급< 一階級 > 올리되 자식이 없을 경우 생질< 甥姪 >이나 여서< 女서 >를 일계급< 一階級 > 올려준다 하였다. 그리고 적장< 嫡長 >이 세습< 世襲 >하여 그 녹< 祿 >을 잃지 않게 하여 영세< 永世 >에 걸쳐 도울 것임을 천명하고 이외에 반당< 伴당 > 4인< 人 >, 노비< 奴婢 > 7명< 名 >, 구사< 丘史 > 2명< 名 >, 전< 田 > 60결< 結 >, 은< 銀 > 5량< 兩 >, 표리< 表裏 > 일단< 一段 >, 내구마< 內廐馬 > 일필< 一匹 > 등을 하사해 주었다. 이 선무공신교서< 宣武功臣敎書 >는 조선조< 朝鮮朝 > 공신연구< 功臣硏究 > 및 임란사연구< 壬亂史硏究 >에 중요한 자료이며 식성군< 息城君 > 이운용< 李雲龍 >의 전기자료< 傳記資料 >로서 귀중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현재 선무공신교서< 宣武功臣敎書 > 중에서 2등< 等 >인 권응수장군< 權應銖將軍 >의 것이 보물< 寶物 > 제< 第 >668호< 號 >, 3등< 等 >인 이광악장군< 李光岳將軍 >의 것은 보물< 寶物 > 제< 第 >952호< 號 >, 일등< 一等 >인 원균장군< 元均將軍 >의 것은 보물< 寶物 > 제< 第 >1133호< 號 >로 각각 지정< 指定 >되어 있다. 이 교지< 敎旨 >는 선조< 宣祖 >29년< 年 >(1596) 1월< 月 >25일< 日 >에 국왕< 國王 >이 이운용< 李雲龍 >에게 절충장군< 折衝將軍 >(정< 正 >3품< 品 >) 경상좌도< 慶尙左道 > 수군절도사< 水軍節度使 >에 임명하는 사령장< 辭令狀 >이다.
이 공신교서< 功臣敎書 >는 만력< 萬曆 >32년< 年 > 즉 선조< 宣祖 >37년< 年 >(1604) 10월< 月 >에 국왕< 國王 >이 임진왜란< 壬辰倭亂 > 때 특히 옥포해전< 玉浦海戰 >에서 혁혁< 赫赫 >한 무공< 武功 >을 세운 식성군< 息城君 > 이운용< 李雲龍 >에게 선무공신< 宣武功臣 > 3등< 等 >을 내린 상훈교서< 賞勳敎書 >이다. 이운용< 李雲龍 >(1562∼1610)은 자< 字 >는 경견< 景見 >, 호< 號 >는 동계< 東溪 >, 본관< 本貫 >은 재령< 載寧 >, 남해현령< 南海縣令 > 몽상< 夢祥 >의 아들이다. 선조< 宣祖 >18년< 年 >(1585) 무과< 武科 >에 급제< 及第 >, 선전관< 宣傳官 >을 거쳐 선조< 宣祖 >22년< 年 >(1589)에 옥포만호< 玉浦萬戶 >로 임명되었다. 임진왜란< 壬辰倭亂 >이 일어나자 패전< 敗戰 >한 경상우도< 慶尙右道 > 수군절도사< 水軍節度使 > 원균< 元均 >이 도망하려는 것을 저지하고 전라좌도< 全羅左道 > 수군절도사< 水軍節度使 > 이순신< 李舜臣 >에게 원병을 청하도록 건의하여 내원< 來援 >한 수군< 水軍 >과 합세하여 옥포해전< 玉浦海戰 >에서 적함< 賊艦 > 50여척을 격침< 擊沈 >시켜 임진란< 壬辰亂 > 최초의 승전< 勝戰 >을 거두었다. 그 뒤 사천< 泗川 >, 한산< 閑山 >, 안골포< 安骨浦 >, 부산포< 釜山浦 > 등 여러 해전< 海戰 >에 참가하여 남해< 南海 >의 제해권< 制海權 >을 장악하는데 큰 공을 세웠으며, 선조< 宣祖 >29년< 年 >(1596) 이순신< 李舜臣 >이 천거< 薦擧 >하여 경상좌도< 慶尙左道 > 수군절도사< 水軍節度使 >에 임명< 任命 >되어 전쟁이 끝날 때까지 경상도< 慶尙道 >의 수군< 水軍 >을 주도< 主導 >하였다. 선조< 宣祖 >37년< 年 >(1604)에 선무공신< 宣武功臣 > 3등에 책록되고 식성군< 息城君 >에 봉해졌으며 선조< 宣祖 >38년< 年 >(1605) 내직< 內職 >으로는 도총부< 都摠府 > 부총관< 副摠管 > ·포도대장겸화기제조< 捕盜大將兼火器提調 > ·비변사당상< 備邊司堂上 >을 지내고, 외직< 外職 >으로는 삼도수군통제사< 三道水軍統制使 >를 지냈다. 선조< 宣祖 >40년< 年 >(1607) 함경도병마사< 咸鏡道兵馬使 >에 임명< 任命 >되어 국가의 중요 군직에서 활동하여 많은 공적을 남겼으며 병조판서< 兵曹判書 >에 추증< 追贈 >되었다. 교서< 敎書 >의 내용은 이운용< 李雲龍 >이 임란< 壬亂 >때 옥포해전< 玉浦海戰 >에서 왜군< 倭軍 >과 대적하여 크게 격파하고 승전< 勝戰 >한 무공< 武功 >을 찬양하면서 선무공신< 宣武功臣 > 삼등< 三等 >으로 책훈< 策勳 >하고 포상< 褒賞 >으로 도상< 圖像 >을 그려 후세< 後世 >에 길이 남기고 일계급< 一階級 >의 작위< 爵位 >를 올리고, 부모< 父母 > ·처자< 妻子 >도 일계급< 一階級 > 올리되 자식이 없을 경우 생질< 甥姪 >이나 여서< 女서 >를 일계급< 一階級 > 올려준다 하였다. 그리고 적장< 嫡長 >이 세습< 世襲 >하여 그 녹< 祿 >을 잃지 않게 하여 영세< 永世 >에 걸쳐 도울 것임을 천명하고 이외에 반당< 伴당 > 4인< 人 >, 노비< 奴婢 > 7명< 名 >, 구사< 丘史 > 2명< 名 >, 전< 田 > 60결< 結 >, 은< 銀 > 5량< 兩 >, 표리< 表裏 > 일단< 一段 >, 내구마< 內廐馬 > 일필< 一匹 > 등을 하사해 주었다. 이 선무공신교서< 宣武功臣敎書 >는 조선조< 朝鮮朝 > 공신연구< 功臣硏究 > 및 임란사연구< 壬亂史硏究 >에 중요한 자료이며 식성군< 息城君 > 이운용< 李雲龍 >의 전기자료< 傳記資料 >로서 귀중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현재 선무공신교서< 宣武功臣敎書 > 중에서 2등< 等 >인 권응수장군< 權應銖將軍 >의 것이 보물< 寶物 > 제< 第 >668호< 號 >, 3등< 等 >인 이광악장군< 李光岳將軍 >의 것은 보물< 寶物 > 제< 第 >952호< 號 >, 일등< 一等 >인 원균장군< 元均將軍 >의 것은 보물< 寶物 > 제< 第 >1133호< 號 >로 각각 지정< 指定 >되어 있다. 이 교지< 敎旨 >는 선조< 宣祖 >29년< 年 >(1596) 1월< 月 >25일< 日 >에 국왕< 國王 >이 이운용< 李雲龍 >에게 절충장군< 折衝將軍 >(정< 正 >3품< 品 >) 경상좌도< 慶尙左道 > 수군절도사< 水軍節度使 >에 임명하는 사령장< 辭令狀 >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