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도대운암목조관음보살좌상및복장유물 - 형식화된 조상양식은 이 시기에 유행했던 양식을 잘 나타내...

by 넥스루비 2007. 8. 7.
경북 청도군 청도읍 유호리 산 1-1

이 보살좌상은 복장유물중<服藏遺物中> 발원문<發願文>에 의하면 자인현<慈仁縣> 반룡사<盤龍寺>에서 순치<順治> 11년(1649)에 조상한 것으로 되어 있다. 두터운 도금아래있는 목질은 알수 없으나 형식화<形式化>된 조상양식<造像樣式>은 이 시기에 유행했던 양식을 잘나타내고 있다. 1930년대에 대운암을 중건했을 때 반룡사로부터 이곳으로 옮겼다고 전한다. 복장유물<腹藏遺物>은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4종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행수능엄경<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行首능嚴經> 지장보살본원경<地藏菩薩本願經>, 발원문<發願文> 육자대명왕진언<六字大明王眞言> 등인데 이중에는 조선초기에 판각된 후쇄본<後刷本>으로 보이는 것도 있다.

댓글

최신글 전체

이미지
제목
글쓴이
등록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