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적천사목조사천왕의자상 - 조선 후기 사천왕상의 기준이 되는 작품으로 높이 평가

by 넥스루비 2007. 8. 7.
경북 청도군 청도읍 원정리 981

사천왕문< 四天王門 > 좌우에서 절을 수호< 守護 >하고 있는 이 사천왕상< 四天王像 >은 몇 조각의 나무를 이어서 제작< 製作 >하였는데 높이가 3.4m∼3.8m의 거구< 巨軀 >이다. 각기 비파< 琵琶 >·칼< 劍 >·탑< 塔 >·보주< 寶珠 > 등의 지물< 持物 >이 다를 뿐 모두 왼발로 악귀< 惡鬼 >를 밟고, 화련한 보관< 寶冠 >과 갑옷, 양 팔에서 날개처럼 펼쳐 올라간 천의< 天衣 >, 마치 광배< 光背 >를 지닌 것처럼 머리 뒤로 날리는 또 다른 천의 등이 다 같은 모습이다. 당당한 모습으로 발로 악귀를 밟고 있지만 얼굴은 험상궂거나 분노하는 표정이 아닌 오히려 웃음까지 띠고 있는 정감어린 모습이다. 이러한 점은 조선< 朝鮮 > 후기< 後期 > 사천왕상< 四天王像 >에서 흔히 보이는 특징이라 하겠다. 이 적천사사천왕상< 적川寺四天王像 >은 자세가 균형잡히고 보관이나 갑옷의 표현이 치밀한 우수한 작품이며, 더구나 사천왕상 속에서 사리< 舍利 >·경판< 經板 >·의류< 衣類 >·다라니< 陀羅尼 > 등의 복장품< 腹藏品 >과 복장기< 腹藏記 >까지 나와 제작연대< 製作年代 >(숙종< 肅宗 > 16년, 1690)를 알 수 있으므로 조선< 朝鮮 > 후기< 後期 > 사천왕상< 四天王像 >의 기준이 되는 작품< 作品 >으로 높이 평가< 評價 >된다.



댓글

최신글 전체

이미지
제목
글쓴이
등록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