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청도군 청도읍 원정리 637
이것은 임진왜란< 壬辰倭亂 > 때 이충무공< 李忠武公 >의 부장< 部將 >으로 활약했던 식성군< 息城君 > 이운룡< 李雲龍 >(1562∼1610) 장군이 임란전후< 壬亂前後 >의 상황 등을 기록한 일기와 장계< 狀啓 >이다. 거영일기는 장군이 삼도수군통제사< 三道水軍統制使 >로 부임되는 선조< 宣祖 38년(1605) 7월 30일부터 이듬해 9월 1일까지 15개월 동안의 일을 빠짐없이 기록한 수군통제사일기로 병영예식< 兵營禮式 >, 군의 장비, 훈련상황 등이 적혀있다. 계본등록은 선조 38년(1605) 9월 15일부터 동왕 40년(1607) 6월 1일까지 수군통제사로 국왕< 國王 >께 올렸던 장계 138건이 기록되어 있다. 이 문헌< 文獻 >들은 임진왜란 때 수군의 활약상과 화기< 火器 >, 전선< 戰船 >에 관한 기록 및 그 직후< 直後 >의 수군편제< 水軍編制 >, 인물< 人物 >, 훈련과정, 방비상태 임무를 비롯한 각 진< 鎭 >의 군비상황, 수군력 강화와 정비 등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어 당시의 국방< 國防 >, 수군제도< 水軍制度 >, 전선관계 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다.
이것은 임진왜란< 壬辰倭亂 > 때 이충무공< 李忠武公 >의 부장< 部將 >으로 활약했던 식성군< 息城君 > 이운룡< 李雲龍 >(1562∼1610) 장군이 임란전후< 壬亂前後 >의 상황 등을 기록한 일기와 장계< 狀啓 >이다. 거영일기는 장군이 삼도수군통제사< 三道水軍統制使 >로 부임되는 선조< 宣祖 38년(1605) 7월 30일부터 이듬해 9월 1일까지 15개월 동안의 일을 빠짐없이 기록한 수군통제사일기로 병영예식< 兵營禮式 >, 군의 장비, 훈련상황 등이 적혀있다. 계본등록은 선조 38년(1605) 9월 15일부터 동왕 40년(1607) 6월 1일까지 수군통제사로 국왕< 國王 >께 올렸던 장계 138건이 기록되어 있다. 이 문헌< 文獻 >들은 임진왜란 때 수군의 활약상과 화기< 火器 >, 전선< 戰船 >에 관한 기록 및 그 직후< 直後 >의 수군편제< 水軍編制 >, 인물< 人物 >, 훈련과정, 방비상태 임무를 비롯한 각 진< 鎭 >의 군비상황, 수군력 강화와 정비 등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어 당시의 국방< 國防 >, 수군제도< 水軍制度 >, 전선관계 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