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영동군 양산면 누교리 138-1
원각국사비 뒷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주인공은 알 수 없으나 부도의 석종형과 양식이 타부도에서는 불 수 없는 문양장식이며 상하연판이 단판인 점으로 보아 고려말 조선초기의 것으로 추정된다. 원각국사비 바로 뒷편(8m)에 있는 것으로 보아 원각국사와 관련이 깊은 것 같은 강한 느낌을 준다. 방형지대석 위에 팔각원형의 하대석을 놓고 하대석 윗면에 사대석 발판 연역 위에 조식하였다. 그 위에 팔각 간주석 받침을 상하 2단으로 조출하였고 얕은 간주석을 놓았다. 간주석위에는 양연상대석을 놓았고 총 6매의 석재로 조성된 부도이다.
원각국사비 뒷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주인공은 알 수 없으나 부도의 석종형과 양식이 타부도에서는 불 수 없는 문양장식이며 상하연판이 단판인 점으로 보아 고려말 조선초기의 것으로 추정된다. 원각국사비 바로 뒷편(8m)에 있는 것으로 보아 원각국사와 관련이 깊은 것 같은 강한 느낌을 준다. 방형지대석 위에 팔각원형의 하대석을 놓고 하대석 윗면에 사대석 발판 연역 위에 조식하였다. 그 위에 팔각 간주석 받침을 상하 2단으로 조출하였고 얕은 간주석을 놓았다. 간주석위에는 양연상대석을 놓았고 총 6매의 석재로 조성된 부도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