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영동군 영동읍 심원리 192
이 부도는 기단부< 基壇部 >와 탑신부< 塔身部 >로 이루어진 석종형< 石鐘形 >인데 기단과 탑신이 각 1석< 一石 >씩으로 조성되어 모두 2석으로 형성된 간결한 부도이다. 방형< 方形 >의 하대석< 下臺石 >에는 각 면에 3구< 三區 >씩의 안상< 眼象 >을 조각하였고 그 위 원형< 圓形 >의 상대< 上臺 >에는 유려한 연화문< 蓮華紋 >을 장식하였다. 탑신부는 3단< 三段 >의 괴임 위에 놓여있는데 전면< 全面 >에 앙련< 仰蓮 >을 조각하고 정상부< 頂上部 >도 연봉형을 이루고 있다. 이렇듯 탑신 자체의 형태가 연봉형일 뿐만 아니라 표면 전체에 가득히 앙련< 仰蓮 >을 조각하였으므로 이러한 신석< 身石 > 형태와 표면 장식으로 보면 이 부도를 '연봉형 부도'라 할 수 있겠다. 기단부의 안상< 眼象 >과 탑신의 연화문 등으로 보아 고려초< 高麗初 >인 10세기경의 건조로 추정된다. 전체 높이 1.59m, 탑신 높이 1.04m이다.
이 부도는 기단부< 基壇部 >와 탑신부< 塔身部 >로 이루어진 석종형< 石鐘形 >인데 기단과 탑신이 각 1석< 一石 >씩으로 조성되어 모두 2석으로 형성된 간결한 부도이다. 방형< 方形 >의 하대석< 下臺石 >에는 각 면에 3구< 三區 >씩의 안상< 眼象 >을 조각하였고 그 위 원형< 圓形 >의 상대< 上臺 >에는 유려한 연화문< 蓮華紋 >을 장식하였다. 탑신부는 3단< 三段 >의 괴임 위에 놓여있는데 전면< 全面 >에 앙련< 仰蓮 >을 조각하고 정상부< 頂上部 >도 연봉형을 이루고 있다. 이렇듯 탑신 자체의 형태가 연봉형일 뿐만 아니라 표면 전체에 가득히 앙련< 仰蓮 >을 조각하였으므로 이러한 신석< 身石 > 형태와 표면 장식으로 보면 이 부도를 '연봉형 부도'라 할 수 있겠다. 기단부의 안상< 眼象 >과 탑신의 연화문 등으로 보아 고려초< 高麗初 >인 10세기경의 건조로 추정된다. 전체 높이 1.59m, 탑신 높이 1.04m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