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마산시 합포구 자산동
회원현성지는 자산의 남서쪽 사면을 중심으로 축조된 포곡성이며, 토성이 성벽의 기본이다.
위치는 마산시의 가장 중심지역인 무학산의 남쪽 기슭에 돌출한 낮은 야산의 서남쪽 골짝을 둘러싼 산등성이에 있으며 남쪽은 마산만이 한눈에 내려다 보이고 북동쪽은 창원지역의 좁은평야가 펼쳐진 곳이다.
역사적으로는 포현ㆍ합포현 회원현지소 등 행정상의 구실과 정동행성ㆍ구절도사영 등 군사상의 구실도 겸한 유서깊은 성지이다.
이 성은 마산시의 복원계획에 의해 1988년 지표조사와 아울러 시굴이 행하여져 조사보고서가 간행되었다.
성벽은 야산 능선을 따라 폭 430cm, 높이 170cm 크기의 판축으로 된 토성이 기본인데 성벽 안팎의 부분에는 자연할석을 쌓았고 내벽 바깥쪽에는 흙이나 돌로 되메우기를 하였으며 외벽은 그대로 두었다.
성의 지형으로 보아 문지를 동서남북의 정방에 두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고 판단되는데 확실히 밝혀진 것은 북문지 뿐이다.
북문지는 일반 성벽에(폭 320cm, 길이 430cm, 높이 300cm)의 개구부를 내고 외벽 석열에 맞추어서 안쪽에 기중을 세우고 문을 달았으나 누각과 같은 목조건물이 있었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북문지 주변의 성 밖은 해자를 설치한 것으로 보인다.
출토된 유물은 기와 조각인데 늦어도 고려시대 합포ㆍ회원현치소에는 사용된 것이라고 생각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