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성단 - 단소를 정비하고 위(位)를 모시고 순의비(殉義碑)를 세워...

by 넥스루비 2007. 8. 7.

경북 영주시 순흥면 내죽1리 70

이 곳은 조선 세조 2년(1456)에 성삼문<成三問> 등 사육신<死六臣>의 단종복위운동<端宗復位運動>에 연루되어 순흥<順興>에 위리안치<圍籬安置>되어 있던 세종<世宗>의 여섯째 아들 금성대군<錦城大君>이 강원도<江原道> 영월<寧越>에 유배된 단종<端宗>을 순흥부사<順興府使> 이보흠<李甫欽> 및 향중<鄕中> 유림<儒林>과 더불어 복위를 도모하다 실패하여 순절<殉節>한 의사<義士>들을 향사<享祀>하는 제단<祭壇>이다. 단종복위운동<端宗復位運動>이 실패되자 순흥부는 폐읍되었다. 그후 숙종 9년(1683) 순흥부<順興府>가 복원<復元>되고 순절의사들이 신원<伸寃>되자 숙종 45년(1719)에 부사<府使> 이명희<李命熙>가 단소<壇所>를 설치하였으며 영조 18년(1742) 경상감사<慶尙감사> 심성희<沈聖希>가 단소를 정비하고 위<位>를 모시고 순의비<殉義碑>를 세워 매년 춘추<春秋>로 향사<享祀>를 지내고 있다.

[승용차]
● 서울 : 중부고속도로→이천IC→영동고속도로→남원주IC→중앙고속도로→제천IC→풍기IC→931번 지방도 영주방면→순흥면 내죽리→금성단

● 부산, 대구 : 경부고속도로→서대구IC→중앙고속도로→영주IC/풍기IC→931번 지방도 영주방면→순흥면 내죽리→금성단

● 광주, 전남 : 88고속도로→북대구IC→중앙고속도로→영주IC/풍기IC→931번 지방도 영주방면→순흥면 내죽리→금성단


[대중교통]
● 열차
* 청량리-풍기/영주(1일 9회 운행)
* 서울-천안-제천-영주(1일 21회 운행)
* 대구, 동대구-/영주(1일 6회 운행)
* 부산, 부전-영주(1일 5회 운행)
* 강릉-영주(1일 4회 운행)
* 대전-영주(1일 3회 운행)
* 영주역(054-631-7788, 풍기역(054-636-7788)

● 시외/고속버스
* 동서울-풍기, 영주 1일 32회 운행, 2시간 10분 소요
*동대구-영주, 1일 21회 운행, 1시간 30분 소요
* 부산-영주, 1일 9회 운행, 3시간 30분 소요
* 고속버스 안내 서울(02-446-8000, 455-2111), 영주(054-631-1006, 631-3264, 635-8927)

● 시내버스(영주-소수서원-부석사행)
시외버스 영주터미널에서 승차, 3-40분 소요.

댓글

최신글 전체

이미지
제목
글쓴이
등록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