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원미륵리사지 - 중원미륵대원의 옛터

by 넥스루비 2007. 8. 7.

충북 충주시 상모면 미륵리 58

중원(中原) 소백산맥의 주흘산(主屹山, 1,105m)의 한 지맥인 지릅재, 일명 계립령(鷄立嶺).
계곡을 끼고 계속되는 길은 산록을 감돌며 재를 향하게 되는데 이 높은 재가 우리가 말하는 지릅재이며 계립령(鷄立嶺) 또는 마골점(麻骨岾)이라 부르는 곳이다.

남쪽으로는 부봉(婦峰, 釜峰)이 북향(北向)하여 솟았는데 주흘산의 지맥인 이 산맥은 동으로 계속되어 가다가 멀리서 포암산(布巖山, 961.7m)에 이어지고 여기에 하늘재(寒垣嶺)가 있다. 포암산은 서쪽으로 계속되다가 분지의 중앙쯤에서 북으로 꺽여 월악산(月岳山) (1093m) 쪽으로 맥을 이으니, 바로 월악산의 지맥인 것이다.

지릅재의 한 끝이 포암산을 향하여 오다가 북으로 꺽으면서 동부(洞府)가 열리는데 그 가운데로 계립천(鷄立川)이 흐르고 있다. 이 내는 월악산의 덕주산성 앞으로 해서 월천(月川)에 흘러들어 한강수에 합수된다. 마을 사람들은 이 분지를 가리켜 미륵리라 통칭하며 여기를 지릅재라 범칭(凡稱)한다.

중원미륵대원(中原彌勒大院) 옛터, 문화재청에 등재된 정확한 명칭인 중원미륵사지(中原彌勒寺址)는 이곳 지릅재 안 분지에 있다.
이곳은 석탑과 석등들 그리고 토막난 당간지주, 몸통이 없어진 부처머리, 돌거북, 어지러이 흩어진 초석들로 가득 차 있다.
그 뿐 아니라 정교하면서도 웅장하게 쌓여진 석굴사원(石窟寺院)의 폐허와 그 속에 우뚝서 있는 미륵부처가 있다.

절터 물건너 서쪽에 가건물 세계사(世界寺)가 있지만 이곳을 찾는 답사객은 물론 참배신도들까지도 세계사의 범당에는 들리지 않고 이 폐허의 석굴에 서 있는 미륵북과 석탑에 불공을 드린다. 이 폐허의 석굴사원은 불교사적으로 의의가 깊고 건축학적으로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곳에는 고려시대의 것으로 보이는 석탑과 석불입상이 전한다.
석불을 보호하기 위해 만든 석굴은 높이 석축을 큰 무사석(武砂石)으로 짜 올렸고, 그 가운데 감(龕)을 만들어 불상을 봉안하도록 하였다.
이곳에서 평와(平瓦)에 미륵당초(彌勒堂草)라고 새긴 명문와(銘文瓦)가 출토되어 목조 건물이 있었던 듯하나, 건립연대는 통일신라 말기부터 고려 초기로 추정되고 있다. 우리나라 유일의 북향사원지(北向寺院址)이다.

댓글

최신글 전체

이미지
제목
글쓴이
등록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