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진천군 이월면 사곡리 산 68-1
큰 바위의 한 면을 다듬어 전신광배< 全身光背 >모양을 만들고 그 안에 불상을 새긴< 浮彫 > 마애불입상이다. 단아한 승형< 僧形 >의 얼굴표정, 삼도< 三道 >가 뚜렷한 목, 어깨까지 늘어진 큰 귀가 특징이다. 당당한 어깨에 걸친 통견< 通肩 >의 법의< 法衣 >는 U자형으로 흘러내리고 왼팔 등에도 촘촘하게 옷주름선이 형성되어 있다. 오른손은 올리고 왼손은 내려 엄지와 중지를 맞댄 손모양이다. 둥근 얼굴에 부드러운 세부표현과 엷은 미소의 묘사로 부처의 자비스러운 얼굴을 완성시켰으나 이완된 면이 보인다. 또한 특징적인 광배모양과 함께 도식적< 圖式的 >인 옷주름의 표현 등 전면적으로 형식화가 진행되는 고려불상< 高麗佛像 >의 특징이 나타나 있다. 이처럼 이 불상은 신라말< 新羅末 >의 마애불상양식< 磨崖佛像樣式 >을 계승하여 고려시대< 高麗時代 >에 성행< 盛行 >한 거군< 巨群 >의 마애불상 중의 하나로 평가되는 수준작이다. 이 옆에는 암굴< 岩窟 >과 목조전실< 木造前室 >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 흔적이 남아 있다.
큰 바위의 한 면을 다듬어 전신광배< 全身光背 >모양을 만들고 그 안에 불상을 새긴< 浮彫 > 마애불입상이다. 단아한 승형< 僧形 >의 얼굴표정, 삼도< 三道 >가 뚜렷한 목, 어깨까지 늘어진 큰 귀가 특징이다. 당당한 어깨에 걸친 통견< 通肩 >의 법의< 法衣 >는 U자형으로 흘러내리고 왼팔 등에도 촘촘하게 옷주름선이 형성되어 있다. 오른손은 올리고 왼손은 내려 엄지와 중지를 맞댄 손모양이다. 둥근 얼굴에 부드러운 세부표현과 엷은 미소의 묘사로 부처의 자비스러운 얼굴을 완성시켰으나 이완된 면이 보인다. 또한 특징적인 광배모양과 함께 도식적< 圖式的 >인 옷주름의 표현 등 전면적으로 형식화가 진행되는 고려불상< 高麗佛像 >의 특징이 나타나 있다. 이처럼 이 불상은 신라말< 新羅末 >의 마애불상양식< 磨崖佛像樣式 >을 계승하여 고려시대< 高麗時代 >에 성행< 盛行 >한 거군< 巨群 >의 마애불상 중의 하나로 평가되는 수준작이다. 이 옆에는 암굴< 岩窟 >과 목조전실< 木造前室 >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 흔적이 남아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