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석사무량수전 - 고도의 건축기법으로 창조된 완벽한 아름다움

by 넥스루비 2007. 8. 7.

경북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148

무량수전은 부석사의 주불전(主佛殿)으로 아미타여래를 모신 전각이다. 아미타여래는 끝없는 지혜와 무한한 생명을 지녔으므로 무량수불(無量壽佛)로도 불리는데 '무량수(無量壽)'라는 말은 이를 의미하는 것이다. 무량수전은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목조건물 가운데 두 번째로 오래 된 건물이다.
역사적으로는 안동 봉정사의 극락전(極樂殿)이 최고(最高)의 유구(遺構)이지만 극락전은 건물 규모나 구조방식, 법식의 완성도라는 측면에서는 이 집에 비하여 다소 떨어진다. 그러므로 무량수전은 고대 불전(古代 佛殿) 형식과 구조를 연구하는데 있어서 기준이 되는 중요한 건물이다.

정면 5칸, 측면 3칸 규모인데 평면의 경우 건물내부의 고주(高柱) 사이에 형성된 내진(內陣) 사방에 한 칸의 외진(外陣)을 두른 형식(전후 퇴칸형)을 취하고 있다. 기둥 사이의 주칸 거리가 크고 기둥 높이도 높아 건물이 당당하고 안정감 있게 지어졌다.
지붕은 팔작지붕인데 지붕의 물매는 후대 건물에 비하여 완만하다. 예로부터 건물의 구조는 단면에 위치한 도리의 수를 셈하여 말하는 데 이 집은 소위 9량 집으로 외목을 제외한 도리가 9개나 되는 큰 집이다.

무량수전도 고려시대 목수들이 창조하였던 목구의 법식(法式)을 거의 완벽하게 보여주고 있는 대표작이다. 그 기법들은 조선시대에도 전승되어 한국 목구조기술의 정수를 이루어왔다.
그 가운데 눈여겨 볼 것은 기둥의 안쏠림, 평면의 안허리곡(曲), 배흘림과 귀솟음 그리고 항아리 모양의 대들보 등의 외장수법이다.
이들은 자세히 보지 않으면 눈에 잘 띄지 않는, 웬만한 전문가가 아니면 금세 발견하기 어렵고, 매우 섬세한 기술이 요구되는 기법들로서 착시(錯視)에 의한 왜곡현상을 막는 동시에 가장 효율적인 구조를 만들기 위하여 고안된 고도의 기법들이다.
이러한 기법들이 뒷받침하고 있기 때문에 무량수전의 완벽한 아름다움이 창조되는 것이다.

* 기둥의 안쏠림이란 건물 모퉁이 기둥의 윗부분을 수직선 보다 약간 안쪽으로 기울여 세우는 기술이다. 그렇게 하므로써 지붕하중에 의 해 건물의 양 끝이 벌어져 보이는 듯한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다.
* 평면의 안허리곡은 평면을 직사각형으로 만들지 않고 4변의 중앙을 약간 안쪽으로 들이밀어 기둥을 세우는 방법인데, 결과적으로 건물 중앙보다 귀부분 처마끝이 더 튀어 나오도록 처리하는 방법이다. 안허리곡은 기둥의 안쏠림과 관계가 있다.
* 귀솟음의 경우 평기둥(탱주, 撑柱)보다 귓기둥(우주, 隅柱)의 높이가 길어지고, 안쏠림의 경우 주간(柱間)의 결정과 기둥위에 놓이는 다른 부재의 길이 결정이 어려워 진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귀솟음이나 안쏠림의 기법을 알면서도 무시되는 일이 많고 혹은 이들 기법 에 대한 무지로 인해 수리시에 그 형태를 잃는 경우가 때로 있어 왔다. 귀솟음은 건물 부분의 기둥 높이를 중앙보다 높게 처리하는 것 인데 수평부재의 끝부분이 아래로 쳐져 보이는 착시를 막아준다
* 배흘림이란 기둥머리가 넓어보이는착시현상을 막기 위한 것으로 기둥의 가운데 부분을 볼록하게 깎는 기법이다. 무량수전의 기둥은 강 릉 객사문 다음으로 배흘림이 심하다.
* 항아리형보란 보의 단면을 항아리 모양으로 위는 둥글고 아래는 직선으로 깎는 기법으로 시각적 안정성을 위한 기법이다.

무량수전의 내부는 동서 5칸, 남북 3칸으로 아미타불이 있는 불단이 서쪽 2칸에 자리잡았기 때문에 동서로 길게 방향성을 갖는다. 불단을 마주보는 내진(內陳)은 넓고 천장도 대칭적이지만, 양옆의 외진(外陳)은 좁고 한방향으로 기울어진 천장을 갖는다. 내진의 공간감을 강조하기 위하여 내진의 기둥들은 건물 외벽에 설치된 기둥들보다 훨씬 두껍다. 이는 구조적인 필요 때문이기도 하지만 내진의 공간을 강하게 한정하려는 의도이기도 하다.

구조부재들이 그대로 노출되어 있는 천장(연등천장)에는 일체 장식이 없다.
항아리 모양의 단면을 가진 보들이 중첩되어 참배자의 시선을 불상쪽으로 유도하며, 내진 4칸을 하나의 공간으로 연속되게 한다.
대들보와 직각으로 놓인 뜬 창방들은 기둥들 사이의 지지를 위해 존재하는 요소들로 극한 강도만 지지할 수 있도록 매우 가늘게 처리되어 있다.

천장 꼭대기 종도리부터 작은보들과 대공을 거쳐 기둥까지 전달되는 응력(應力)의 다이아그램이 그대로 구조체로 형상화 되었음도 감상할 수 있다. 별도의 천장을 달지 않아 노출된 내부 공간에서 가질 수 있는 또 하나의 즐거움이다.
무량수전이라고 안진경체로 활달하게 씌어진 현판은 공민왕이 홍건적 난을 피해 안동에 머무를 때 쓴 친필이라고 전해온다.

[승용차]
● 서울 : 중부고속도로→이천IC→영동고속도로→남원주IC→중앙고속도로→제천IC→풍기IC→931번 지방도 영주방면→순흥면 내죽리→소수서원→부석사

● 부산, 대구 : 경부고속도로→서대구IC→중앙고속도로→영주IC/풍기IC→931번 지방도 영주방면→순흥면 내죽리→소수서원→부석사서원

● 광주, 전남 : 88고속도로→북대구IC→중앙고속도로→영주IC/풍기IC→931번 지방도 영주방면→순흥면 내죽리→소수서원→부석사


[대중교통]
● 열차
* 청량리-풍기/영주(1일 9회 운행)
* 서울-천안-제천-영주(1일 21회 운행)
* 대구, 동대구-/영주(1일 6회 운행)
* 부산, 부전-영주(1일 5회 운행)
* 강릉-영주(1일 4회 운행)
* 대전-영주(1일 3회 운행)
* 영주역(054-631-7788, 풍기역(054-636-7788)

● 시외/고속버스
* 동서울-풍기, 영주 1일 32회 운행, 2시간 10분 소요
*동대구-영주, 1일 21회 운행, 1시간 30분 소요
* 부산-영주, 1일 9회 운행, 3시간 30분 소요
* 고속버스 안내 서울(02-446-8000, 455-2111), 영주(054-631-1006, 631-3264, 635-8927)

● 시내버스(영주-소수서원-부석사행)
시외버스 영주터미널에서 승차, 3-40분 소요.

최신글 전체

이미지
제목
글쓴이
등록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