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148
높이 2.97m, 통일신라시대의 전형적인 8각 석등으로 상하 비례의 교묘함이나 조각의 정교함에서 신라시대 석등 중에서 손꼽히는 걸작이다. 4매석으로 짠 방형의 지복석(地覆石) 위에 역시 1매로 된 방형지대석(地臺石)이 놓여 있는데 지대석의 네 면에는 각각 2구씩의 안상(眼像)이 조식되어 있다. 그 위로 팔각 하대석 받침 2단이 마련되어 있다.
하대석은 모서리를 향하여 아름다운 복판복련(複瓣覆蓮)이 한잎씩 8엽으로 조각되었고 꽃잎 끝은 말려서 귀꽃이 되었다.
특히 복련 중심에서 높은 3단의 받침이 있어 마치 연꽃 속에서 간주(竿柱)를 받쳐 올리는 듯이 표현되었다.
간주는 전형적인 팔각주(八角主)로서 굵기나 높이가 아름다운 비례를 보이고 있다. 그 위로 화사석(火舍石)을 받치는 상대석엔 8엽의 앙련(仰蓮)이 조각되었는데 2중의 꽃잎 모양과 반전으로 양감을 주어 세련된 조형미를 나타낸다.
8각의 화사석엔 4면 모두 장방형의 화창(火窓)이 뚫려 있고 나머지 4면에는 각각 보살 입상이 1구씩 얕게 조각되어 있다.
연화좌 위에 선 4구의 보살상은 양손을 가슴에 모아 꽃송이를 들었거나 한 손으로 공양구를 든 모습인데 탄력적이고 세련된 기법으로 아름답게 조각되어 있다.
화사석을 덮은 8각의 옥개석은 낙수면의 전각(轉角)이 반전되어 있으며 정상에는 연화문 장식이 있다.
상륜부에는 보주(寶珠)가 남아 있지만 연봉은 결실되었다.
[승용차]
● 서울 : 중부고속도로→이천IC→영동고속도로→남원주IC→중앙고속도로→제천IC→풍기IC→931번 지방도 영주방면→순흥면 내죽리→소수서원→부석사
● 부산, 대구 : 경부고속도로→서대구IC→중앙고속도로→영주IC/풍기IC→931번 지방도 영주방면→순흥면 내죽리→소수서원→부석사서원
● 광주, 전남 : 88고속도로→북대구IC→중앙고속도로→영주IC/풍기IC→931번 지방도 영주방면→순흥면 내죽리→소수서원→부석사
[대중교통]
● 열차
* 청량리-풍기/영주(1일 9회 운행)
* 서울-천안-제천-영주(1일 21회 운행)
* 대구, 동대구-/영주(1일 6회 운행)
* 부산, 부전-영주(1일 5회 운행)
* 강릉-영주(1일 4회 운행)
* 대전-영주(1일 3회 운행)
* 영주역(054-631-7788, 풍기역(054-636-7788)
● 시외/고속버스
* 동서울-풍기, 영주 1일 32회 운행, 2시간 10분 소요
*동대구-영주, 1일 21회 운행, 1시간 30분 소요
* 부산-영주, 1일 9회 운행, 3시간 30분 소요
* 고속버스 안내 서울(02-446-8000, 455-2111), 영주(054-631-1006, 631-3264, 635-8927)
● 시내버스(영주-소수서원-부석사행)
시외버스 영주터미널에서 승차, 3-40분 소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