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성주군 가천면 금봉리 산 11-2
이 불상은 대좌< 臺座 >와 광배< 光背 >를 모두 갖추고 있는 신라 하대< 下代 >의 석조 비로자나불상< 毘盧舍那佛像 >이다. 나발< 螺髮 >의 머리칼, 둥글고 단정한 얼굴, 짧은 귀와 작은 입, 단아< 端雅 >한 체구, 지권인< 智拳印 >을 한 수인< 手印 >, 무릎을 덮어내린 통견의< 通肩衣 > 등은 9세기 후반기의 지권인 불상양식을 따르고 있다. 대좌 또한 상중하대< 上中下臺 >로 이루어진 8각원당대좌< 八角圓堂臺座 >로서 사자와 구름무늬를 아름답게 새겼고 고복석< 鼓腹石 >의 중대< 中臺 >나 앙< 仰 > 복련< 覆蓮 >의 상< 上 > 하대석< 下臺石 >은 불상과 함께 동화사< 桐華寺 > 석조비로자나불상< 石造毘盧舍那佛像 >과 친연성이 깊은 것으로 판단된다. 주형거신광배< 舟形擧身光背 > 또한 연꽃무늬, 불꽃무늬, 화불< 化佛 > 등을 세밀하게 조각 하였다. 이 불상은 동화사 비로자나불상 계통을 이어받은 9세기 후반기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는 매우 중요한 불상이다.
이 불상은 대좌< 臺座 >와 광배< 光背 >를 모두 갖추고 있는 신라 하대< 下代 >의 석조 비로자나불상< 毘盧舍那佛像 >이다. 나발< 螺髮 >의 머리칼, 둥글고 단정한 얼굴, 짧은 귀와 작은 입, 단아< 端雅 >한 체구, 지권인< 智拳印 >을 한 수인< 手印 >, 무릎을 덮어내린 통견의< 通肩衣 > 등은 9세기 후반기의 지권인 불상양식을 따르고 있다. 대좌 또한 상중하대< 上中下臺 >로 이루어진 8각원당대좌< 八角圓堂臺座 >로서 사자와 구름무늬를 아름답게 새겼고 고복석< 鼓腹石 >의 중대< 中臺 >나 앙< 仰 > 복련< 覆蓮 >의 상< 上 > 하대석< 下臺石 >은 불상과 함께 동화사< 桐華寺 > 석조비로자나불상< 石造毘盧舍那佛像 >과 친연성이 깊은 것으로 판단된다. 주형거신광배< 舟形擧身光背 > 또한 연꽃무늬, 불꽃무늬, 화불< 化佛 > 등을 세밀하게 조각 하였다. 이 불상은 동화사 비로자나불상 계통을 이어받은 9세기 후반기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는 매우 중요한 불상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