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문경시 모전동 299
유곡역<幽谷驛>은 문경현<聞慶縣>의 남쪽 40리에 위치해 있으며, 속역<屬驛>은 18개였고, 이곳에는 종6품의 찰방<察訪>이 설치되어 있었다. 조선시대 9개의 간산도로 가운데 제4로와 제5로가 경유하는 곳으로 영남지역에서 서울을 잇는 주요한 교통의 요충지이다. 문서<文書> 관련자<關聯者> 임종수<林宗秀>[1841(헌종 7년)-1893(고종 30년)]는 유곡출신<幽谷出身>으로 본관<本貫>은 평택<平澤>으로 되어 있으나 이는 조선후기에 합본<合本>이 이루어질 때에 개관<改貫>한 것으로 추측된다. 그의 출신은 분명치 않으나 1887년(광서<光緖> 13년, 고종 24년), 1890년(광서<光緖> 16년, 고종 27년)의 문경현<聞慶縣> 호서남면<戶西南面> 대사동<大寺洞> 준호구<準戶口>에 의하면 그의 부<父> 임순백<林順伯>(1819∼?)은 역부<驛夫>로서 가선대부전행첨지중추부사겸오위장<嘉善大夫前行僉知中樞府事兼五衛將>이며, 본관<本貫>은 평택<平澤>으로 되어 있다. 또 조<祖> 완철<完哲>, 증조<曾祖> 상보<相寶>는 모두 증직<贈職>을 띠고 있다. 이러한 점을 통해 볼 때 임종수<林宗秀> 역시 역<驛> 출신<出身>으로 구한말<舊韓末>의 변동기에 관료에 입신하였던 것으로 추측된다. 그의 입사 계기는 분명치 않으나 1879년(고종 16년)에 절위장군용양위부호군겸오위장<折衛將軍龍양衛副護軍兼五衛將>에 임명되었고, 1884년(고종 21년)에 장사랑<將仕郞>으로 충훈부<忠勳府>의 도사<都事>에 차정<差定>되었다. 1888년(고종 25년)에 통훈대부행사헌부감찰<通訓大夫行司憲府監察>, 1890년(고종 27년)에 통훈대부겸유곡찰방<通訓大夫兼幽谷察訪>이 되었고, 이어서 같은해 4월에 평릉도찰방<平陵道察訪>에 임명되었다. 고문서<古文書>로는 교지<敎旨> 12점(1879 광서<光緖> 5년, 고종 16∼1890 광서<光緖> 16년, 고종 27년)으로 보존상태는 양호하다. 준호구<準戶口> 4점은 보존상태는 양호하며 시기는 1884, 1887, 1890, 1894년의 자료이다. 점지<岾紙> 1점은 1884년(고종 21) 1월에 임종수<林宗秀>를 충훈부<忠勳府>의 도사<都事>로 착정<着定>한 것이다. 시권<詩券> 1점 보존상태 양호하다. 유곡역<幽谷驛> 및 평릉역<平陵驛>의 각종 문서<文書> 16권으로 보존상태는 양호한데, 이들 문서<文書>는 1890년(고종 27년) 2월의 유곡역<幽谷驛> 예하 각 역<驛>의 삼등마안<三等馬案>, 차사출입책<差使出入冊>, 민장초개책<民狀草槪冊>, 관주회계기<官呪會計記>, 공고전문하기책<工庫錢文下記冊>, 공고하기책<工庫下記冊>, 관용하기책<官用下記冊>, 후용하책<後用下冊>, 관청하기책<官廳下記冊>, 윤2월의 수도안<囚徒案>, 4월의 유곡도중기책<幽谷道重記冊>, 출채기<出債記>(공형출타책)<公兄出他冊> 월의 관청하기성책 상<館廳下記成冊 上>, 7월의 송안<訟案>, 12월의 관청하기성책 상<館廳下記成冊 上>, 리방색봉하기<吏房色捧下記>등이다. 그외 충훈부<忠勳府>, 형조<刑曹>의 관문<關文> 2점, 조보<朝報> 5점, 도목정사<都目政事> 2점, 각종<各種> 간찰<簡札> 13점, 기타 자료<資料> 7점 등이 있다.
유곡역고문서 - 영남지역에서 서울을 잇는 주요한 교통의 요충지...
최신글 전체
이미지
제목
글쓴이
등록일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