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제주시 용담2동 588
상석의 크기는 길이 155㎝, 폭 124㎝, 두께 45㎝이다. 상석 상면의 상태는 굴곡이 매우 심하나 하면은 잘 다듬어져 있다. 지석은 상석의 동쪽을 제외한 북, 남, 서에 고여 있다. 지석은 모두 판석이다. 북, 남편 지석은 가로 150㎝, 폭 90㎝로 상석의 측면을 완전하게 1매로 고이고 있다. 서편지석은 길이 100㎝, 폭 6, 두께 25㎝로 상석에서 이탈되어 있다. 지석의 크기와 고인상태로 볼 때 동편에는 막음용 판석이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따라서 상석 밑에 고인 판석상 지석 3매로 석실을 만들고 시신을 지상에 안치한 뒤 막음돌을 사용하여 밀폐한 것으로 여겨진다. 동서장축의 석실규모는 길이 173㎝, 폭 80㎝, 높이 75㎝이다. 언뜻 보아 북방식 지석묘와 유사하나, 상석 주위를 돌아가며 고인 판석상 지석들이 지상 석실벽의 역할을 하는 지상위석형 지석묘로 판단된다. 용담동 1호 지석묘와 유사한 제주도식 지석묘이다. 작은 홈돌 1점이 석실내부에서 확인되었다.
상석의 크기는 길이 155㎝, 폭 124㎝, 두께 45㎝이다. 상석 상면의 상태는 굴곡이 매우 심하나 하면은 잘 다듬어져 있다. 지석은 상석의 동쪽을 제외한 북, 남, 서에 고여 있다. 지석은 모두 판석이다. 북, 남편 지석은 가로 150㎝, 폭 90㎝로 상석의 측면을 완전하게 1매로 고이고 있다. 서편지석은 길이 100㎝, 폭 6, 두께 25㎝로 상석에서 이탈되어 있다. 지석의 크기와 고인상태로 볼 때 동편에는 막음용 판석이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따라서 상석 밑에 고인 판석상 지석 3매로 석실을 만들고 시신을 지상에 안치한 뒤 막음돌을 사용하여 밀폐한 것으로 여겨진다. 동서장축의 석실규모는 길이 173㎝, 폭 80㎝, 높이 75㎝이다. 언뜻 보아 북방식 지석묘와 유사하나, 상석 주위를 돌아가며 고인 판석상 지석들이 지상 석실벽의 역할을 하는 지상위석형 지석묘로 판단된다. 용담동 1호 지석묘와 유사한 제주도식 지석묘이다. 작은 홈돌 1점이 석실내부에서 확인되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