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력
일소리는 흔히 민요의 백미라 일컫는다. 고된 노동의 현장에서 일하는 지겨움과 힘듬을 잊기 위하여 부르는 것으로 농경 중심의 우리 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되며, 따라서 계절적으로 농사일과 연관되어 불리워졌다. 나무꾼 소리는 초겨울부터 초봄에, 망깨소리는 대체적으로 농한기인 겨울과 초봄에 불리워졌으며 보리타작소리는 늦봄과 초여름에, 모심기소리와 논매기소리는 여름에, 칭칭나네 역시 여름에 불리워지던 소리이다.
- 속내
일소리가 삶의 모습과 깊이 연관되어 있는 까닭에 그 내용 역시 삶의 현장에서 일어나는 모든 것을 소재로 한다. 님과의 사랑, 해학과 풍자 등 그 내용이 매우 다양하여 일소리를 통해 이 지방 서민들의 긍정적이고 건강한 삶의 의지와 줄기찬 생명의식을 엿볼 수 있다.
- 짜임새
① 나무꾼소리: 흔히 산융회, 어산영이라고도 하는데, 잘못된 사회나 잘못된 제도를 신랄하게 비판하고 밝은 세상을 지향하고자 하는 서민들의 염원이 함축되어 있다.
②망깨소리: 농한기에 집을 지을 때, 집터를 다지거나 못둑을 쌓을 때, 둑을 다지면서 부르는 소리로 거창에서는 이 두 경우의 망깨소리가 모두 전승되고 있다.
③보리타작소리: 보리타작은 매우 힘든 노동이므로 소리말이 짧고 선후창으로 이루어지며, 고됨과 희망찬 삶에 대한 기대가 주 내용을 이루고 있다.
④모찌기소리: 거창지역 모찌기소리는 다양한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선후창과 교환창이 함께 전승된다. 서로 번갈아 부르는 교환창은 모심기소리 가락에 붙여 부른다.
⑤모심기소리: 교환창으로 소리말이 밝고 건강하며, 해학과 풍자가 넘치는 것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⑥논매기소리: 논매기는 아시매기, 두벌매기, 세벌매기가 있는데, 세벌매기가 가장 힘들고 고되다. 소리 말도 해학과 풍자가 깃들여져 있으며, 님과의 사랑 등 다양한 내용의 선후창이다.
⑦칭칭나네: 세벌 논매기가 끝나면 상머슴을 무등 태우고 부르는 소리고, 농악을 울리면서 논에서 마을로 돌아가게 된다. 주인은 음식을 푸짐히 내어놓고 일꾼들을 위로하며 놀이마당을 제공한다.
◆ 논매기를 끝낸 후, 상머슴을 무등에 태우고 농악과 소리를 앞세워 마을로 돌아간다. 거창 일소리는 긍정적인 서민생활민요이다.
◆ 소리말이 밝고 건강하면서 해학과 풍자가 넘치는 모심기 소리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