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진도군 임회면 상만리 675
이 석탑은 상만리에서 얼마 떨어지지 않은 상만사라 전해진 사지에 위치하고 있으며 현재는 구암사란 현판을 붙여놓은 조그마한 암자가 있다. 탑의 형식을 보면 이층기단인 5층탑으로서 맨 밑에 지대를 보면 수매의 판석으로깐 하대석에 그 위로 4 매의 중석을 끼었는바 군 데군데 파손이 심하다. 하대갑석은 역시 4매의 판석으로 결구하였으나 중석의 결구상태가 좋지 않아 균형을 잃고 있으며 상하에 별조식이 보이지 않는다. 상대중석은 4매 판석으로 짰는데 전후 면은 판석으로 세우고 좌우면은 삽입하였으며 각면에 우주가 희 미하게 모각되었다. 갑석은 1매 판석이며 하면은 부연이 각출되지 않았고, 상면은 경미한 경사를 이루다가 중앙으로 오르면서 각형 2단괴임을 하여 탑신부를 받고 있다. 탑신부는 탑신과 옥개석이 각 1석씩이며 각 탑신 네면에는 우주 가 각출되었으나 희미하여 구별이 선명치 않을 정도이다. 옥개석 은 낙수면의 경사가 급격한 편이고 우동마루가 표출되었으며 처마의 단면이 두꺼운 편인데 전각의 반전은 경쾌하다. 옥개석 층 급 받침은 층단의 모서리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나 일층에서 사 층까지는 삼단이다가 오층에서는 이단으로 줄어들었다. 또한 옥개석 상면의 일단의 각형괴임이 각출되어 상층의 탑신을 받고있 다. 이층부터는 탑신과 옥개석이 진감되긴하였으나 옥개석의 체 감에 비해 탑신의 체감율이 감소되어 전체적인 규모에서 고준해 보인다. 상륜부는 노반과 보주가 있을 뿐이며 다른 부재는 없다. 이 탑은 비단부에서 이중기단임을 보여주고 있으나 상하층에서의 우조와 탱주가 선명치 않고 또한 갑석하면의 부연이 생략되는 등 일부 기법에의 퇴화현상 이여실히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소규모의 탑일지라도 우리 나라 최남단인 도서지방에 까지 탑의 조성이 이루어졌음을 볼 수 있는 좋은 예라 할 것이다. 탑의 조 성 연대는 고려 후기로 추정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