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용흥사 부도군(7기) - 용흥사 부도군(7기)

by 넥스루비 2007. 8. 7.
전남 담양군 월산면 용흥리 86-1

용흥사로 들어가는 입구 왼쪽으로 부도 7기가 나란히 일렬고 위치하고 있다. 편의상 맨왼쪽(향우)에서부터 양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탑신에 '청심당쌍인'이라 음각했으며 조성연대는 없다. 그러나 용흥사 범종(지방유형 90) 조성기에 '대선사쌍인비구' 란 명문이 있어 쌍인의 활동연대가 17세기임을 알 수 있다. 부도의 높이는 235cm로 전체모양은 팔각원당형의 전통양식 을 따르고 있다. ②이 부도는 탑신에 '□□당대사일옥'이라 하고 그 배면에 '강희오년병오'란 명문이 새겨져 있다. 조성연대는 1666년인 데 여기 '일옥'은 전북만경출신 진묵대사의 이름이긴 하나 정확한 당호가 판독되지 않아 알 수가 없다. 이 부도 역시 ①번 부도와 거의 동식으로 높이는 228cm이다. ③탑신에 '송백당'이라 음각됐고 배면에는 '강희오십육년정 유'란 명문이 있다. 원형좌대석, 팔각중석, 앙연, 팔각탑신, 옥개석과 상륜을 갖추었다. ④이 부도의 탑신에 문호형이 있으나 명문내용이 판독불능이다. 좌대석이 땅에 묻혀 있고 팔각중석, 앙연, 탑신, 옥개석 등이 모두 팔각이며 상륜은 일석인데 보개에 앙연문이 보이 고 그 위로 보주를 앉혔다. ⑤7기 부도중 보존상태가 가장 안좋은 편이며 탑신에 균열이 가 있다. 좌대석이 땅에 묻히고 중석과 탑신, 옥개석이 차례로 있으며 상륜은 일석이다. 높이 233cm. ⑥좌대석이 땅에 묻혀있고 둥석은 팔각이다. 앙연은 팔판연 화로 한줄의 횡대 음각을 두르고 탑신, 옥개석이 팔각이다. 탑신에 '황여당□동'이라 음각 했으며 다른 면에 '건륭오년 경신립'이라 하여 조성연대가 1740년임을 알 수 있다. 상륜 은 2석으로 받침과 보주를 올렸다. ⑦이 부도는 맨 가에 있다. 역시 탑신에 '퇴암지탑'이라 당 호를 새겼으며 특면에 '건륭계축심일월일'이라 명문하였다. 건립연대는 1793년으로 용흥사 7기의 부도중 연대가 가장 떨어진다. 용흥사의 부도는 비록 조선시대에 속한 부도이나 그 조형이 나 작풍이 모두 팔각원당형을 고수하고 있으며 더구나 그 조 성의절대연대를 알 수 있는 매우 귀중한 자료라 하겠다.

댓글

최신글 전체

이미지
제목
글쓴이
등록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