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죽림재 - 죽림재

by 넥스루비 2007. 8. 7.
전남 담양군 고서면 분향리 338

담양군 고서면 소재지에서 약 2km떨어진 곳에 우등산과 맥을 같이하는 향백산이 있고 그 아래 속칭 '잣쟁이'라 불리우는 분향리에 창녕 조씨 동족촌이 있다. 죽림재는 마을의 남쪽 산기슭에 위치하고 있는데 원래 죽림 조수문(1426~?)이 건립한 정사로써 대대로 창년조시문중의 강학 장소로 이용되었다. 초창건물은 1592년 임진 왜란시 귀중한 문적과 함께 소실되었고, 1623년(인조 1)에 죽림선생의 6대손인 삼청당 조부에 의해서 중건되었다. 그후 죽림선생과 선생의 아들인 운곡 호의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1708년에 문인과 후손들에 의해 죽림사가 건립되었고 1751년에는 죽림재와 같은 위치로 죽리사를 이건하였다. 1868년(고종 5)대원군의 서원훼철령으로 훼철되었다가 1948 년 복원되었으며 현재 4위(죽림 조수문·운곡 조호·삼청당 조부·숙은 정민하)를 배향하고 있다. 죽림 조수문은 어려서부터 점필재 김종직의 문하(『동국문 헌록』에는 강호 김숙자의 문인으로 기록되어 있음)에서 학문을 수학한 뒤 죽림정사를 건립하여 후진교육으로 여생을 보냈다. 재상 김포광이 왕명을 받아 『역학계몽』을 찬술할 때에 죽 림선생의 자문을 받았다고 하며 김필재는 '호남진유'라고 칭 찬하였다. 죽림의 저서로는 『성락지남』 『작불론』이 있으며 문인으로는 판서 윤달화, 현감 강백녕, 교리 조호 등이 대 표적이다 한편 관련유적으로는 창녕조씨문중의 ①취사당 (죽림사강당, 정면 오간, 측면 이간, 팔작지붕)②세일재(조유도의 묘각, 1899년 건립, 정면 삼간, 측면 삼간, 팔작지붕)③충요각(조부 의 효자정려각, 1640년 건립, 정면 일간, 측면 일간, 맞배지 붕)④죽림사유허비⑤조완형기실비⑥증암수확수계원영사비 등 이 있다.

댓글

최신글 전체

이미지
제목
글쓴이
등록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