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선대마애불상 - 서낙동강을 지나다 보면 고목 속에 쌓인 바위 무리

by 넥스루비 2007. 8. 7.
경남 김해시 안동

구포를 지나 남해안 고속도로를 따라서 서낙동강을 지나다 보면 고목 속에 쌓인 바위 무리를 보게 된다. 이곳이 초선대다. 이곳에는 가락국의 거등왕이 칠점산의 선인을 초대하여 거문고와 바둑을 즐겼다는 전설이 깃들어 있다. 초선대의 암벽에 새겨진 불상은 비스듬히 누운 자연 암벽에 굵은 선으로 음각된 채 앉아 있다. 수직 6미터의 바위에 새겨진 초선대 마애불은 능라 무늬가 돋보이나, 불상이 너무 크기 때문에 신체 균형이 맞지 않으며 조각 수법도 정교한 편이 못된다. 신체 부분도 단순한 선으로 묘사되었는데 넓고 각이 진 어깨라든가 평행선의 옷주름은 형식화되어 신체의 양감을 제대로 살리지 못하고 있다. 조성시기는 고려시대로 짐작된다. 김해에서 유일한 철도인 경전선을 타고 부산에서 마산으로 향하다 보면 삼랑진을 지나 곧 낙동강 철교를 만나게 되고, 이어지는 평야와 함께 한림정역에 다다른다. 여기에서 계속 진영으로 가다 보면 이 지역에서 최고인 봉화산을 만날 수 있다. 봉수대가 있어 봉화산이라 불리게 된 이 산 중턱에는 마애불(왼쪽 사진)이 암벽에 조각되어 있다. 이 마애불은 바위틈에 끼어 드러누운 모양으로 발견되었다. 이 석불은 통일신라시대의 여래좌상으로 약간 파손된 형태지만, 균형 있는 콧등과 조그마한 입, 어깨까지 늘어진 커다란 귀 등은 아주 세련된 모습을 보여 준다. 아무도 알아주지 않는 외로운 탑이, 한적함마저 감도는 한림면 안곡리의 외진 곳에 자신을 둘러싼 산들만을 응시한 채 처량하게 서 있다. 이 안곡리 삼층 석탑은 고려시대의 폐사지에 있었던 석탑으로 높이 2.12미터이며, 원형이 많이 손상되었다. 기단부는 매몰되고 옥개석 3장과 탑신 1장이 남아 있었는데, 그후 탑재만을 살려 다시 세웠다고 한다.

댓글

최신글 전체

이미지
제목
글쓴이
등록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