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해남군 북평면 이진리 1227 외
이진리의 해안에 위치한 석축성이다. 이진진은 정유재란 후인 1598년(선조 21)에 설진하여 1627(인조 5)에 만호진으로 승격하여 현재 이 성은 이 때 쌓은 것으로 보여지며 영암군에 속한 진성으로 1895년(고종 32) 페진되었는데 『여지도서』에는 "재군남일백이심리 성석축 주위일청사백칠십척 고팔척치첩삼백삼십사 내유이천"이라 기사하고 종4품이 수군만호 밑에 군관 18명, 리 18명, 지인 5명, 사척 37명이 배치되어 있었다고 기술하고 있다. 한편 『해남읍지』에 의하면 전선 1척, 병선 1척, 사후선 2척과 대변군관 12명, 진리 18명, 사령 6명, 군뢰 2명, 방군 271명이 배치되어 있었다. 그리고 『문화유적총람』에는 "둘레 2.5km의 성지로 1648년(인조 26)에 이진수군만호를 두어 성을 축조하였고, 성주위로 바다 호수를 만들어 왜군이 침노하지 못하게 하였다. 또 이진은 제주도 출입통제소이기도 하였으며 제주도 군마 및 사마를 수송하는 곳이기도 하였다 하며, 마을 안에 수군만호비 4기가 있다"고 등재하고 있다. 한편 성의 축조방법과 현황을 보면 남북의 구릉지를 이용 축성한 남북장축의 타원형의 진성으로 성벽은 내탁법에 의해 쌓았다. 성내에는 이진부락이 소재하는데 마을의 통로로 이용되고 있는 부분이 동문과 서문지다. 폭 3m 서문지에는 둘레 34m 높이 5m 폭2.2m 옹성이 원형을 유지하고 있다. 그 외에도 지금은 파괴되었으나 남문지에는 이진리 기호준씨댁 대문 앞에 구경 10cm, 장재윤씨댁에 보관중인 구경 18cm의 홈이 패인 초석이 남아 있다. 현재 남아 있는 성벽은 총연자 940m이다. 동벽의 길이는 350cm, 하폭 390cm, 상폭 130cm, 높이 200~270cm, 서벽은 길이 280cm, 하폭 430cm, 상폭 200cm, 높이 5m이며 남벽은 길이 116m, 하폭 6m, 상폭 4m, 높이 430cm로 거의 도괴되어 있다. 성벽주위에는 내편 및 각종 잡발 등이 수습된다. 그리고 만호비 4기가 현재는 이진 초등학교 앞에있다. 이 이진성은 설성연재는 부정확하나 현재도 거의 원형을 유지하고 있어 그 상태상으로 보아 남도진성이나 낙안읍성에 비해 손색이 없고 주변의 달마산봉수나 달도 선소, 이진 마을의 민가와 관련한 귀중한 가치를 지닌다고 하겠다.
이진리의 해안에 위치한 석축성이다. 이진진은 정유재란 후인 1598년(선조 21)에 설진하여 1627(인조 5)에 만호진으로 승격하여 현재 이 성은 이 때 쌓은 것으로 보여지며 영암군에 속한 진성으로 1895년(고종 32) 페진되었는데 『여지도서』에는 "재군남일백이심리 성석축 주위일청사백칠십척 고팔척치첩삼백삼십사 내유이천"이라 기사하고 종4품이 수군만호 밑에 군관 18명, 리 18명, 지인 5명, 사척 37명이 배치되어 있었다고 기술하고 있다. 한편 『해남읍지』에 의하면 전선 1척, 병선 1척, 사후선 2척과 대변군관 12명, 진리 18명, 사령 6명, 군뢰 2명, 방군 271명이 배치되어 있었다. 그리고 『문화유적총람』에는 "둘레 2.5km의 성지로 1648년(인조 26)에 이진수군만호를 두어 성을 축조하였고, 성주위로 바다 호수를 만들어 왜군이 침노하지 못하게 하였다. 또 이진은 제주도 출입통제소이기도 하였으며 제주도 군마 및 사마를 수송하는 곳이기도 하였다 하며, 마을 안에 수군만호비 4기가 있다"고 등재하고 있다. 한편 성의 축조방법과 현황을 보면 남북의 구릉지를 이용 축성한 남북장축의 타원형의 진성으로 성벽은 내탁법에 의해 쌓았다. 성내에는 이진부락이 소재하는데 마을의 통로로 이용되고 있는 부분이 동문과 서문지다. 폭 3m 서문지에는 둘레 34m 높이 5m 폭2.2m 옹성이 원형을 유지하고 있다. 그 외에도 지금은 파괴되었으나 남문지에는 이진리 기호준씨댁 대문 앞에 구경 10cm, 장재윤씨댁에 보관중인 구경 18cm의 홈이 패인 초석이 남아 있다. 현재 남아 있는 성벽은 총연자 940m이다. 동벽의 길이는 350cm, 하폭 390cm, 상폭 130cm, 높이 200~270cm, 서벽은 길이 280cm, 하폭 430cm, 상폭 200cm, 높이 5m이며 남벽은 길이 116m, 하폭 6m, 상폭 4m, 높이 430cm로 거의 도괴되어 있다. 성벽주위에는 내편 및 각종 잡발 등이 수습된다. 그리고 만호비 4기가 현재는 이진 초등학교 앞에있다. 이 이진성은 설성연재는 부정확하나 현재도 거의 원형을 유지하고 있어 그 상태상으로 보아 남도진성이나 낙안읍성에 비해 손색이 없고 주변의 달마산봉수나 달도 선소, 이진 마을의 민가와 관련한 귀중한 가치를 지닌다고 하겠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