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장흥군 유치면 대리 산 225
동쪽은 장흥 유치면 대리 수덕동과 서쪽으로는 강진 병영면에 거쳐있는 이 산성은 산마루를 이어 쌓은 석성으로 사방 주위 가 약 6km, 높이 4~5m, 너비 4m로 남문, 북문, 동문이 있다. 성의 축조는 천험의 산세를 이용하여 돌로 쌓았는데, 성내에 는 봉수대와 수인사지, 군고지 등의 유적이 남아 있다. 수인산성이 언제 어느 정도의 규모로 축조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정확한 기록이 없으나, 『세종실록지리지』에 입암산성과 김(금)성산성 및 금성산성(나주)과 함께 기록이 되고 있고, 『동국여지승람』에 「본도간고현시성 본조개축고려말도강침진보 성장흥영암지민개피왜구어차」라는 내용으로 보아 고려 때에 쌓았던 것으로 보인다. 또 동기록에 의하면 「동북쪽으로 30 리에 있으며 병영 동쪽으로 10리이다. 두레가 3,756척이고 병 영에서 남문까지는 매우 좁은 길이 빙 돌아서 문밖의 성세가 핍박하여 두 사람이 함께 설 수 없으며, 북문은 더욱 험절하고 동문은 적을 막을 수 있는 곳으로 문밖은 절벽져 있다」했다. 이로 보면 당시 석성의 상태를 대략 짐작할 수가 있다.
동쪽은 장흥 유치면 대리 수덕동과 서쪽으로는 강진 병영면에 거쳐있는 이 산성은 산마루를 이어 쌓은 석성으로 사방 주위 가 약 6km, 높이 4~5m, 너비 4m로 남문, 북문, 동문이 있다. 성의 축조는 천험의 산세를 이용하여 돌로 쌓았는데, 성내에 는 봉수대와 수인사지, 군고지 등의 유적이 남아 있다. 수인산성이 언제 어느 정도의 규모로 축조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정확한 기록이 없으나, 『세종실록지리지』에 입암산성과 김(금)성산성 및 금성산성(나주)과 함께 기록이 되고 있고, 『동국여지승람』에 「본도간고현시성 본조개축고려말도강침진보 성장흥영암지민개피왜구어차」라는 내용으로 보아 고려 때에 쌓았던 것으로 보인다. 또 동기록에 의하면 「동북쪽으로 30 리에 있으며 병영 동쪽으로 10리이다. 두레가 3,756척이고 병 영에서 남문까지는 매우 좁은 길이 빙 돌아서 문밖의 성세가 핍박하여 두 사람이 함께 설 수 없으며, 북문은 더욱 험절하고 동문은 적을 막을 수 있는 곳으로 문밖은 절벽져 있다」했다. 이로 보면 당시 석성의 상태를 대략 짐작할 수가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