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제주시 일도2동 996-1
1770년대에 제작된 제주도의 고지도<古地圖>이다. 제주도 고지도<古地圖>는 초기에는 둥근 감자형이었다가 점차 제 모습과 같은 고구마형으로 바뀌는데, 이 지도는 위에 설명한 두가지 형태와 다르게 제주목이 큰 만<灣>을 이루며 내륙으로 움푹 들어가 있어, 다른 지도와 전혀 다른 분위기를 풍긴다. 한라산과 그주변에 산재한 오름(악<岳>)들을 입체화시켜 한라산의 웅장함을 강조하고 있으며, 한라산 봉우리의 명칭들도 자세히 기록하고 있다. 더욱이 제주가 섬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게 섬의 위치까지 적어 놓고 있다. 제주목<濟州牧, □의현<□義縣>, 대정현<大靜縣>의 경계를 주선<朱線>으로 표시하였으며, 삼읍<三邑>의 연결 도로망도 나타나 있다. 목장<牧場>, 과원<果園>, 봉수<烽燧>, 연대<烟臺>, 방호소<防護所>, 포구<浦口>의 명칭도 두 적어 놓았다. 지도 주변에는 24방위가 표시되어 있으며, 전라도의 해남<海南>, 강진<康津>, 장흥<長興>, 과 그 주변의 해안 도서<島嶼> 일본, 중국의 산동<山東>, 양주<楊州>, 항주<杭州> 등지와 안남<安南> 까지 자세히 표기하여 해도<海圖>의 기능까지 겸하고 있다. 1700년대의 제주도의 제주도의 산업과 방위, 설촌<設村>, 해로<海路>, 지도의 제작기법 등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제주도유형문화재 제14호로 지정되어 있다.
1770년대에 제작된 제주도의 고지도<古地圖>이다. 제주도 고지도<古地圖>는 초기에는 둥근 감자형이었다가 점차 제 모습과 같은 고구마형으로 바뀌는데, 이 지도는 위에 설명한 두가지 형태와 다르게 제주목이 큰 만<灣>을 이루며 내륙으로 움푹 들어가 있어, 다른 지도와 전혀 다른 분위기를 풍긴다. 한라산과 그주변에 산재한 오름(악<岳>)들을 입체화시켜 한라산의 웅장함을 강조하고 있으며, 한라산 봉우리의 명칭들도 자세히 기록하고 있다. 더욱이 제주가 섬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게 섬의 위치까지 적어 놓고 있다. 제주목<濟州牧, □의현<□義縣>, 대정현<大靜縣>의 경계를 주선<朱線>으로 표시하였으며, 삼읍<三邑>의 연결 도로망도 나타나 있다. 목장<牧場>, 과원<果園>, 봉수<烽燧>, 연대<烟臺>, 방호소<防護所>, 포구<浦口>의 명칭도 두 적어 놓았다. 지도 주변에는 24방위가 표시되어 있으며, 전라도의 해남<海南>, 강진<康津>, 장흥<長興>, 과 그 주변의 해안 도서<島嶼> 일본, 중국의 산동<山東>, 양주<楊州>, 항주<杭州> 등지와 안남<安南> 까지 자세히 표기하여 해도<海圖>의 기능까지 겸하고 있다. 1700년대의 제주도의 제주도의 산업과 방위, 설촌<設村>, 해로<海路>, 지도의 제작기법 등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제주도유형문화재 제14호로 지정되어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