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남제주군 안덕면 사계리 3126
제주도 남제주군 안덕면 사계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향교이다. 1408년(태종 8)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하여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목적으로 하여 대정현 성내에 창건하였다. 처음에는 북성(北城)안에 있었으나 중간에 동문 밖으로 옮겼고, 다시 서성(西城)안으로 옮겼으나 1653년(효종 41) 이원진(李元鎭) 목사가 현재의 위치인 단산(簞山) 아랫족으로 이건(移建)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그뒤 대성전(大成殿)은 1669년(현종 10), 1688(숙종 14), 1752년(영조 28), 1835년(헌종 1)에 중수하였고, 명륜당(明倫堂)은 1772년(영조 48)에 중건하였다. 이렇듯 여러 차례의 중·개축을 거친 뒤, 1993년에는 남제주군에서 대성전을 다시 중수하였다.
'명륜당(明倫堂)'이라는 액자는 순조 때 변경붕(邊景鵬) 현감이 주자필9朱子筆)을 본받아 게시하였고, 대정현 훈장(訓長) 강사공(姜師孔)은 이 고장에 유배왔던 추사 김정희(秋史 金正喜)에게 요청하여 '의문당(疑問堂)'이라는 액자를 받아 게시하였다. 현재 대정향교에 보관되어 있는 '의문당'이란 액자를 살펴보면, 『도광이십육년병오(헌종 12, 1846)십일월 일 진주후인강사공 청적소전참판김공정희 제액근게 각자향원오재복 공자탄진이사칠구년 무진춘재게(道光二十六年丙午十一月 日 晋州後人姜師孔 請謫所前參判金公正喜 題額謹揭 刻字鄕員吳在福 孔子誕辰二四七九年 戊辰春再揭)』라 하였으므로, 각자(刻字)는 향원(鄕員) 오재복에 의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특히 강사공은 1811년(순조 11)은 삼강오륜을 상징하는 소나무 세 그루와 팽나무 다섯 그루를 대성전 뜰에 심었는데, 오늘날에 와서는 자연 재해와 관리 소홀로 인하여 거의 고사하고 말았다.
현재 경내에는 각 5칸(약 50평)의 대성전·명륜당·동재(東齋. 15평)·서재(서齋. 13평) 신삼문(神三門. 3평)·대성문(大成門. 1평)·동말문(東末門. 傳香門. 1평)·동정문(東正門. 1평) 등이 있으며, 제주에 있는 세 향교 중 원형을 가장 잘 간지갛고 있다. 대성정에는 정위(正位. 공자)와 배형(配亨)4성위(聖位. 顔子·曾子·子思·孟子), 후형(後亨) 22위(位)(宋朝 4현, 우리 나라 18賢)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이 향교는 1971년 8월에 제주도유형문화재 제 4호로 지정되었으며, 1984년 4월 1일부터는 문명학원(文明學院. 사설 강습소)을 병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소장된 전적(田籍)으로는 <대정향교절목(大靜鄕校節目) > 등 18종 37권이 있는데, 유교경전의 집주류(集註流)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전적과 노비 등을 지급받아 훈도(訓導) 1명이 정원 30ad의 교생(校生)을 가르쳤으나 갑오개혁이후 신학제(新學制) 실시에 따라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고, 봄·가을로 석전제(釋奠祭)와 초하루·보름에 분향만을 하고 있다. 현재 운영은 제주도 향교재단에서 맡고 있다. (典校 1인, 掌議 9인). 단산을 등지고 앞으로 송악산을 바라보면서 자리해 있는 대정향교는 읍성이 있던 보성리로부터 4㎞ 남짓 떨어져 있다.
제주도 남제주군 안덕면 사계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향교이다. 1408년(태종 8)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하여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목적으로 하여 대정현 성내에 창건하였다. 처음에는 북성(北城)안에 있었으나 중간에 동문 밖으로 옮겼고, 다시 서성(西城)안으로 옮겼으나 1653년(효종 41) 이원진(李元鎭) 목사가 현재의 위치인 단산(簞山) 아랫족으로 이건(移建)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그뒤 대성전(大成殿)은 1669년(현종 10), 1688(숙종 14), 1752년(영조 28), 1835년(헌종 1)에 중수하였고, 명륜당(明倫堂)은 1772년(영조 48)에 중건하였다. 이렇듯 여러 차례의 중·개축을 거친 뒤, 1993년에는 남제주군에서 대성전을 다시 중수하였다.
'명륜당(明倫堂)'이라는 액자는 순조 때 변경붕(邊景鵬) 현감이 주자필9朱子筆)을 본받아 게시하였고, 대정현 훈장(訓長) 강사공(姜師孔)은 이 고장에 유배왔던 추사 김정희(秋史 金正喜)에게 요청하여 '의문당(疑問堂)'이라는 액자를 받아 게시하였다. 현재 대정향교에 보관되어 있는 '의문당'이란 액자를 살펴보면, 『도광이십육년병오(헌종 12, 1846)십일월 일 진주후인강사공 청적소전참판김공정희 제액근게 각자향원오재복 공자탄진이사칠구년 무진춘재게(道光二十六年丙午十一月 日 晋州後人姜師孔 請謫所前參判金公正喜 題額謹揭 刻字鄕員吳在福 孔子誕辰二四七九年 戊辰春再揭)』라 하였으므로, 각자(刻字)는 향원(鄕員) 오재복에 의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특히 강사공은 1811년(순조 11)은 삼강오륜을 상징하는 소나무 세 그루와 팽나무 다섯 그루를 대성전 뜰에 심었는데, 오늘날에 와서는 자연 재해와 관리 소홀로 인하여 거의 고사하고 말았다.
현재 경내에는 각 5칸(약 50평)의 대성전·명륜당·동재(東齋. 15평)·서재(서齋. 13평) 신삼문(神三門. 3평)·대성문(大成門. 1평)·동말문(東末門. 傳香門. 1평)·동정문(東正門. 1평) 등이 있으며, 제주에 있는 세 향교 중 원형을 가장 잘 간지갛고 있다. 대성정에는 정위(正位. 공자)와 배형(配亨)4성위(聖位. 顔子·曾子·子思·孟子), 후형(後亨) 22위(位)(宋朝 4현, 우리 나라 18賢)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이 향교는 1971년 8월에 제주도유형문화재 제 4호로 지정되었으며, 1984년 4월 1일부터는 문명학원(文明學院. 사설 강습소)을 병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소장된 전적(田籍)으로는 <대정향교절목(大靜鄕校節目) > 등 18종 37권이 있는데, 유교경전의 집주류(集註流)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전적과 노비 등을 지급받아 훈도(訓導) 1명이 정원 30ad의 교생(校生)을 가르쳤으나 갑오개혁이후 신학제(新學制) 실시에 따라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고, 봄·가을로 석전제(釋奠祭)와 초하루·보름에 분향만을 하고 있다. 현재 운영은 제주도 향교재단에서 맡고 있다. (典校 1인, 掌議 9인). 단산을 등지고 앞으로 송악산을 바라보면서 자리해 있는 대정향교는 읍성이 있던 보성리로부터 4㎞ 남짓 떨어져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