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안동시 일직면 망호리 747
상여< 喪輿 >집은 흔히 '곳집'이라고 부르는데 상여< 喪輿 >와 장례< 葬禮 >에 쓰이는 용구< 用具 >들을 보관< 保管 >하는 곳으로 초상< 初喪 >이 났을 때 마을 사람들이 서로 협조< 協助 >하여 공동< 共同 >으로 장례를 치르기 위하여 조직한 계< 契 >모임에서 관리< 管理 >하고 있다. 이 건물< 建物 >은 19세기 초< 19世紀 初 >에 지은 것으로 전하며, 전국< 全國 >에 남아있는 상여집이 몇동< 棟 > 되지 않아 귀중< 貴重 >한 자료< 資料 >가 되고 있다. 건축수법< 建築手法 >은 매우 소박< 素朴 >하고 간결< 簡潔 >하게 지었으며, 벽체< 壁체 > 하부< 下部 >는 돌과 흙을 섞어 쌓아 든든하게 막았으나 그 상부< 上部 >는 판벽< 板壁 >으로 구성< 構成 >하여 환기< 換氣 >와 채광< 採光 >을 고려< 考慮 >하였다.
상여< 喪輿 >집은 흔히 '곳집'이라고 부르는데 상여< 喪輿 >와 장례< 葬禮 >에 쓰이는 용구< 用具 >들을 보관< 保管 >하는 곳으로 초상< 初喪 >이 났을 때 마을 사람들이 서로 협조< 協助 >하여 공동< 共同 >으로 장례를 치르기 위하여 조직한 계< 契 >모임에서 관리< 管理 >하고 있다. 이 건물< 建物 >은 19세기 초< 19世紀 初 >에 지은 것으로 전하며, 전국< 全國 >에 남아있는 상여집이 몇동< 棟 > 되지 않아 귀중< 貴重 >한 자료< 資料 >가 되고 있다. 건축수법< 建築手法 >은 매우 소박< 素朴 >하고 간결< 簡潔 >하게 지었으며, 벽체< 壁체 > 하부< 下部 >는 돌과 흙을 섞어 쌓아 든든하게 막았으나 그 상부< 上部 >는 판벽< 板壁 >으로 구성< 構成 >하여 환기< 換氣 >와 채광< 採光 >을 고려< 考慮 >하였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