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실상사 수철화상능가보월탑 - 8각원당형의 전형적인 신라석조부도

by 넥스루비 2007. 8. 7.
전북 남원시 산내면 입석리 50

통일신라시대 실상사 제2조사 수철화상의 부도탑으로 높이 2.42m이다.
극락전을 향하여 오른쪽에 세워졌는데 현재 위치가 본디의 자리이며 신라 석조부도로써 전형적인 양식인 8각원당형을 기본으로 삼고 높직한 8각 지대석 위에 건립되어 있다. 지대석 위에는 굄단 등 아무런 시설도 없이 기단부를 놓았는데 기단은 상ㆍ중ㆍ하대석으로 이루어졌다.

8각 하대석은 하단에 높직한 갑석형(甲石形)을 두르고 측면에는 그 주연을 따라 운문(雲文)을 조식하였으며 각면에 운룡 또는 사자상을 돋을새김하고 있다. 중대굄석은 높직하게 별석으로 만들었는데 상하단이다.
중대석은 얕고 좁은 8각 석재이나 각면에 신라통식(通式)의 안상을 음각하고 그 내면에 사리함 또는 주악상 등 여러가지 조각으로 화사하게 장식하였다.

상대석은 하면에 8각으로 3단의 각형받침을 각출(刻出)하였고 측면에는 단엽의 앙련을 상중으로 조각하되 1열에 16판씩 둘렀는데 판내에 아무런 조식이 없으나 도합 48판의 연화문이 사실적으로 저각되어 화려한 느낌마저 든다.
상면에는 별다른 조식이 없고 2단의 각형굄을 각출한 위에 탑신굄석을 받치고 있다.

탑신은 8각 각면에 양우주가 각출되고 전후면에는 문비형이 모각되었으며 그 좌우면에 사천왕상을 양각하였는데 이러한 문비와 사천왕상의 배치는 8각원당형 석조부도의 기점으로 보는 염거화상탑(廉居和尙塔)에서부터 나타난다.
옥개석은 전체적으로 평박한데 하면에는 탑신석 위에 놓이는 부분에 1단의 각형받침이 있고 처마부분은 곡선을 이루어 비천상(飛天像)을 조식하였으며 또한 그밖으로는 각형의 연목(椽木)을 모각하였다.
옥개상면은 8면의 합각에 굵은 우동을 표시하고 낙수면에는 기왓골을 나타내었으며 추녀에 이르러는 수막새와 암막새기와의 모각으로써 막음을 하였다. 추녀의 전각에는 귀꽃이 없고 다만 우동 끝에 잡상(雜像)을 원각배치 하였던 흔적이 역력하다.
옥개석 정상에는 8각으로 된 2단의 각형굄을 각출하여 상륜부를 받치고 있으나 현재 남아있는 상륜부재는 8각의 노반석 하나밖에 없다.

댓글

최신글 전체

이미지
제목
글쓴이
등록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