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주 회진성 - 나주 회진성

by 넥스루비 2007. 8. 7.
전남 나주시 다시면 회진리 산8-1

회진성은『나주읍지』에 백제때 축성한 성으로 되어 있고 『신증동국여지승람』 <나주목 고적조 회진폐현>에는 주의 서쪽 15리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본래 백제의 두과현인데 신라때 지금 이름으로 나주에 예속되고 고려와 존조에 와서도 그대로 하였다(회진폐현 재주심오리 본백제두과현 신라개금명래속 고려급본조인지)는 기록에서도 이 성은 백제로부터 고려시대까지 사용되다가 조선조에 들어와서 폐현이 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또한 회진성은 죽군성이라고도 한다. 이는 당에 의하여 백제 고토에 설치된 죽군현에서 비롯된 것이다. 회진성은 둘레길이가 약 2.4km에 달하는 상당한 규모의 성곽인데 동과 북서쪽은 표고 90~100m의 구릉이 양팔을 벌리 듯 편평한 계곡을 감싸안고 있다. 성벽은 토석혼축으로 능선 을 따라 포곡식으로 축조되었다. 남쪽은 평지를 가로막아서 성내에는 너른 평탄지대가 형성되었다. 남쪽 평지를 통과하 성벽은 판축으로 된 토성인데 그 길이는 약 400m에 이른 다. 기저부 폭은 너른 곳이 14m에 이르고 성벽의 높이는 8m 에 달하는 곳도 있다. 회진마을을 감싸고 있는 성벽들은 나지막한 언덕과 같이 남 아 있는데 동서남북에 성문지가 있다. 성내는 회진마을을 포 함한 넓은 평지가 있고 그 중심에서는 초석과 와편들이 발견되고 있어 주목된다. 회진성은 조선초 회진현이 폐현될 때까지 사용되어온 성곽으로서 성곽형태는 조선시대의 읍성과 비견되는 규모를 가지고 있다. 현재 우리는 지방읍성의 발달시기에 대해서는 규명하 지 못하고 있으나 백제시대까지 소급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어 읍성발달사적인 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유적이다.

댓글

최신글 전체

이미지
제목
글쓴이
등록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