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고흥군 도양읍 봉암리 2202
쌍충사는 충열공 이대원(1566~1587)과 충장공 정운(1543~1592)을 배향한 사우이다. 이대원은 1587년(선조20) 녹도만호로서 남해안에 출몰하는 왜적을 맞아 전과를 올렸고 죽도 해상에서 순절한 인물이다. 이에 선조는 사당을 지어 근민에게 향사토록 하였는데 이것이 쌍충사의 전신인 이대원사당이다. 정운은 유성룡의 천거로 1591년 녹도만호로 부임하였는데 임난시에 충무공 이순신과 함께 옥포.한산해전등에서 선봉장으로서 전과를 올리고 이운태에서 순절하였다. 이에 전라좌수영 이순신이 청하여 1592년 그 위를 합정하였다. 이 사당은 1597년 정유재란으로 불탄 뒤 1681년(숙종7) 사우 중건을 추진하였고 이듬해인 1682년(숙종8)임조.서봉영등 호남유림 연명의 청ㅇㅇ)를 올려 1683년 쌍충사로 역이되었다. 1735년(영조11) 보수하였고 1868년 전국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 1922년 고흥향교 선비들의 협력으로 강당을 짓고 1924년 신실까지 지었으나 1942년 일인들에 의해 다시 폐허화되었다. 1947년 녹도쌍충사복구기성회가 조직되어 1957년 신실과 강당을 개축하였다. 쌍충사는 봉암리 해안가 높은 언덕위에 위치하고 있다. 전면으로는 녹동 항구와 소록도가 보이는 지형으로 전면의 자연 경관이 매우 훌륭하다. 이 언덕위에는 쌍충사만이 들어서 있으며 건물로는 1947년에 중건된 사당(17.8m2)과 1957년에 건립된 강당(757m2) 사각대문, 관리사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신당의 좌향은 임좌내향이며 건물의 배치는 맨 윗 쪽으로 정면 2칸 측면 1칸반의 맞배집 사당(신실)을 배치하였다. 이곳과 2.5m의 지반차를 두고 형성된 아래단의 좌측으로 동향하여 정면 5칸, 측면 3칸의 규모에 겹처마로 꾸민 8작지붕의 강당을 배치하였다. 대지 우측 밑으로는 강당과 마주보게 관리사를 배치하였다.
쌍충사는 충열공 이대원(1566~1587)과 충장공 정운(1543~1592)을 배향한 사우이다. 이대원은 1587년(선조20) 녹도만호로서 남해안에 출몰하는 왜적을 맞아 전과를 올렸고 죽도 해상에서 순절한 인물이다. 이에 선조는 사당을 지어 근민에게 향사토록 하였는데 이것이 쌍충사의 전신인 이대원사당이다. 정운은 유성룡의 천거로 1591년 녹도만호로 부임하였는데 임난시에 충무공 이순신과 함께 옥포.한산해전등에서 선봉장으로서 전과를 올리고 이운태에서 순절하였다. 이에 전라좌수영 이순신이 청하여 1592년 그 위를 합정하였다. 이 사당은 1597년 정유재란으로 불탄 뒤 1681년(숙종7) 사우 중건을 추진하였고 이듬해인 1682년(숙종8)임조.서봉영등 호남유림 연명의 청ㅇㅇ)를 올려 1683년 쌍충사로 역이되었다. 1735년(영조11) 보수하였고 1868년 전국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 1922년 고흥향교 선비들의 협력으로 강당을 짓고 1924년 신실까지 지었으나 1942년 일인들에 의해 다시 폐허화되었다. 1947년 녹도쌍충사복구기성회가 조직되어 1957년 신실과 강당을 개축하였다. 쌍충사는 봉암리 해안가 높은 언덕위에 위치하고 있다. 전면으로는 녹동 항구와 소록도가 보이는 지형으로 전면의 자연 경관이 매우 훌륭하다. 이 언덕위에는 쌍충사만이 들어서 있으며 건물로는 1947년에 중건된 사당(17.8m2)과 1957년에 건립된 강당(757m2) 사각대문, 관리사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신당의 좌향은 임좌내향이며 건물의 배치는 맨 윗 쪽으로 정면 2칸 측면 1칸반의 맞배집 사당(신실)을 배치하였다. 이곳과 2.5m의 지반차를 두고 형성된 아래단의 좌측으로 동향하여 정면 5칸, 측면 3칸의 규모에 겹처마로 꾸민 8작지붕의 강당을 배치하였다. 대지 우측 밑으로는 강당과 마주보게 관리사를 배치하였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