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무안군 삼향면 유교리 698
마을 뒷산 기슭에 서향하여 안채가 자리하며 2단 축대 아래에 직선축을 맞춰, 마당과 창고채가 마련되었다. 마당의 높이 차이로 안마당과 바깥마당을 구분할 뿐 집안에 다양한 공간구조를 연출하진 못한다. 창고채 상랸문에 「소화 2년 정묘음 2월 30일 정사병 오시에 대들보를 올렸다(소와이년정묘음이월삼십일일정사병오시상 량)」이란 기록으로 보아 1927년에 지어진 것을 알 수 있으며, 안 채 역시 비슷한 시기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안채는 전면 7간, 측면 3간반의 겹집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중앙간 들은 전후퇴를 두었다. 간살이는 중앙 간에 대청을 배치하고 왼쪽 에 큰방, 오른쪽에 작은방을 배열하여 앞뒤퇴에는 툇마루를 시설 했다. 오른쪽 끝간은 셋으로 나누어서 안쪽에 사랑큰방, 뒤로는 사랑샛방과 작은방이 상하로 놓이고 우측에는 툇마루가 시설되었다. 큰방 왼쪽의 좌우 2간 앞쪽에는 샛방과 부엌바을 배열하고, 뒤의 4간 넓은 공간은 부엌이다. 구조는 2고주7량이다. 기단은 2단 계단식으로 놓였는데 장대석으로써 잔다듬한 가공석이다. 주초는 낮은 둥근꼴로 가공한 화강암이다. 기둥은 전면과 측면 보이는 곳은 굵은 두리기둥을 쓰고 나머지는 네모기둥이다. 기둥머리에는 장혀를 얹어서 굴도리를 받쳤 다. 지붕은 합각이고 홑처마인데 합각면은 붉은 벽돌과 회벽돌을 사용하였다. 앞의 창고는 정면 6간, 측면 3간의 맞배기와 지붕집으로 한옥 창 고로는 그 규모가 꽤나 크다. 벽체는 전래의 광채와 같이 판자를 사용했으며 문은 양판문으로 만들었다. 5량구조로서 기단은 잔다 듬 가공한 외벌대 장대석으로 돌렸으며 초석은 낮은 덤벙주조 위 에 네모기둥을 세웠다. 정원시설 가운데 인상적인 것은 없으나 집 뒤의 산비탈에 구축한 음식저장고가 있다. 굴을 파고 전면에 토담을 쌓은 다음 석재 인 방을 얹고 기와를 엎어 만들었다 벽 가운데에 숫기와를 이용하여 통기공을 만들었다
[승용차]
● 서해안고속도로→목포방행→무안IC→무안읍→삼향면
● 남해고속도로→광주→나주→함평→무안읍→삼향면
● 88고속도로→광주→나주→함평→무안읍→삼향면
[대중교통]
● 고속버스
* 서울-목포, 3회 운행, 4시간 40분 소요
* 목포-무안, 5분 간격 20분 소요, 무안터미널 061-453-2518
* 광주-무안, 15분 간격, 50분 소요
마을 뒷산 기슭에 서향하여 안채가 자리하며 2단 축대 아래에 직선축을 맞춰, 마당과 창고채가 마련되었다. 마당의 높이 차이로 안마당과 바깥마당을 구분할 뿐 집안에 다양한 공간구조를 연출하진 못한다. 창고채 상랸문에 「소화 2년 정묘음 2월 30일 정사병 오시에 대들보를 올렸다(소와이년정묘음이월삼십일일정사병오시상 량)」이란 기록으로 보아 1927년에 지어진 것을 알 수 있으며, 안 채 역시 비슷한 시기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안채는 전면 7간, 측면 3간반의 겹집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중앙간 들은 전후퇴를 두었다. 간살이는 중앙 간에 대청을 배치하고 왼쪽 에 큰방, 오른쪽에 작은방을 배열하여 앞뒤퇴에는 툇마루를 시설 했다. 오른쪽 끝간은 셋으로 나누어서 안쪽에 사랑큰방, 뒤로는 사랑샛방과 작은방이 상하로 놓이고 우측에는 툇마루가 시설되었다. 큰방 왼쪽의 좌우 2간 앞쪽에는 샛방과 부엌바을 배열하고, 뒤의 4간 넓은 공간은 부엌이다. 구조는 2고주7량이다. 기단은 2단 계단식으로 놓였는데 장대석으로써 잔다듬한 가공석이다. 주초는 낮은 둥근꼴로 가공한 화강암이다. 기둥은 전면과 측면 보이는 곳은 굵은 두리기둥을 쓰고 나머지는 네모기둥이다. 기둥머리에는 장혀를 얹어서 굴도리를 받쳤 다. 지붕은 합각이고 홑처마인데 합각면은 붉은 벽돌과 회벽돌을 사용하였다. 앞의 창고는 정면 6간, 측면 3간의 맞배기와 지붕집으로 한옥 창 고로는 그 규모가 꽤나 크다. 벽체는 전래의 광채와 같이 판자를 사용했으며 문은 양판문으로 만들었다. 5량구조로서 기단은 잔다 듬 가공한 외벌대 장대석으로 돌렸으며 초석은 낮은 덤벙주조 위 에 네모기둥을 세웠다. 정원시설 가운데 인상적인 것은 없으나 집 뒤의 산비탈에 구축한 음식저장고가 있다. 굴을 파고 전면에 토담을 쌓은 다음 석재 인 방을 얹고 기와를 엎어 만들었다 벽 가운데에 숫기와를 이용하여 통기공을 만들었다
[승용차]
● 서해안고속도로→목포방행→무안IC→무안읍→삼향면
● 남해고속도로→광주→나주→함평→무안읍→삼향면
● 88고속도로→광주→나주→함평→무안읍→삼향면
[대중교통]
● 고속버스
* 서울-목포, 3회 운행, 4시간 40분 소요
* 목포-무안, 5분 간격 20분 소요, 무안터미널 061-453-2518
* 광주-무안, 15분 간격, 50분 소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