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영암군 학산면 학계리 117-3
원래 남쪽의 현행주씨 가옥과 한집으로 안 사랑채와 안채의 관계이고 바깥사랑채 등이 있었다고 한다. 건립년대는 1902년으로 추정된다. 건물의 배치는 나란히 축으로 구성해서 안사랑채인 현종식씨 택은 남 서향으로 자리하고 안채인 현행주씨 택은 그 보다 남쪽으로 비껴 약간 앞쪽으로 배치하였다. 안사랑마당에 조그마한 정원시설을 하였고 안사랑채와 직각축을 써 서쪽에 부속채를 두고 있다. 안사랑채 맞은편에 바깥사랑채터와의 경계를 이루는 내담이 이쏙 담 너머로 바깥사랑채터가 있다. 그 앞에 5간의 솟을 대문이 있다. 안사랑 채의 남쪽으로 안채인 현행주씨 택과의 사이에는 대문이 있으며 안채는 정방형 의 죽담으로 완전히 둘러 싸여 있다. 안 사랑채는 일자형 5간 양통집으로서 전후 좌우퇴를 두었고 후퇴에 다시 우측 4 간은 쪽마루를 내어 아주 큰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평면의 간살이는 맨 서쪽이 부엌칸으로 상사 2칸에 좌퇴를 합한 아주 큰 부엌을 두었고 그 뒤로는 후퇴와 쪽마루 공간까지 합하여 찬방을 두고 있다. 그 다음칸은 큰방으로 상하 2간 크기이고 다음칸은 1간의 가운데방이 있고 방뒤에는 1간의 안마루가 있다. 이들 뒤에 는 후퇴나 쪽마루의 마루공간이 있다 그 다음칸은 2간반의 대청이 있고 동쪽 끝 에는 앞간에 공루를 두고 뒷간에는 간반의 사랑방이 있다. 그 옆으로 우퇴를 시 설하였다. 주존느 2고주 5량으로 도리는 납도리이고 장혀를 받쳤으며 보밑에는 보아지를 끼웠다. 기둥은 전면만 민흘림 두리기둥이고 나머지는 네모기둥이다. 기단은 다듬돌 바른층 쌓기이고 전면의 우각부에 활주가 있다. 지붕은 합각이다. 안채인 현행주씨 택의 평면구성은 H자형의 평면으로서 몸채는 4간 전후퇴집이며 동서쪽 날개채는 각각 정면 1간, 측면 4간으로 전후면 각각 몸채보다 1간씩 더 내밀었다. 간살이는 서쪽 날개채 앞 3칸에 부엌을 두고 뒷 1칸에 정지방을 두었다. 몸체는 서쪽에 2간의 큰방이 있고 그다음에 2×2칸 규모의 대청이 있다. 동 족 날개채는 맨 앞칸에 1간의 공루를 두고 중가에 1간의 작은방을, 그 뒤로 1칸 의 마루방을 배치하였다. 공루아래는 광이며 부벽구조로 되어 있다. 주초는 덤벙 주초이고 기둥은 몸채 전면만 두리기둥을 놓고 나머지는 네모기둥을 놓았다. 장 혀받친 납도리집으로 보아지를 끼웠다. 지붕은 몸채나 날개부분 모두 합각이다.
원래 남쪽의 현행주씨 가옥과 한집으로 안 사랑채와 안채의 관계이고 바깥사랑채 등이 있었다고 한다. 건립년대는 1902년으로 추정된다. 건물의 배치는 나란히 축으로 구성해서 안사랑채인 현종식씨 택은 남 서향으로 자리하고 안채인 현행주씨 택은 그 보다 남쪽으로 비껴 약간 앞쪽으로 배치하였다. 안사랑마당에 조그마한 정원시설을 하였고 안사랑채와 직각축을 써 서쪽에 부속채를 두고 있다. 안사랑채 맞은편에 바깥사랑채터와의 경계를 이루는 내담이 이쏙 담 너머로 바깥사랑채터가 있다. 그 앞에 5간의 솟을 대문이 있다. 안사랑 채의 남쪽으로 안채인 현행주씨 택과의 사이에는 대문이 있으며 안채는 정방형 의 죽담으로 완전히 둘러 싸여 있다. 안 사랑채는 일자형 5간 양통집으로서 전후 좌우퇴를 두었고 후퇴에 다시 우측 4 간은 쪽마루를 내어 아주 큰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평면의 간살이는 맨 서쪽이 부엌칸으로 상사 2칸에 좌퇴를 합한 아주 큰 부엌을 두었고 그 뒤로는 후퇴와 쪽마루 공간까지 합하여 찬방을 두고 있다. 그 다음칸은 큰방으로 상하 2간 크기이고 다음칸은 1간의 가운데방이 있고 방뒤에는 1간의 안마루가 있다. 이들 뒤에 는 후퇴나 쪽마루의 마루공간이 있다 그 다음칸은 2간반의 대청이 있고 동쪽 끝 에는 앞간에 공루를 두고 뒷간에는 간반의 사랑방이 있다. 그 옆으로 우퇴를 시 설하였다. 주존느 2고주 5량으로 도리는 납도리이고 장혀를 받쳤으며 보밑에는 보아지를 끼웠다. 기둥은 전면만 민흘림 두리기둥이고 나머지는 네모기둥이다. 기단은 다듬돌 바른층 쌓기이고 전면의 우각부에 활주가 있다. 지붕은 합각이다. 안채인 현행주씨 택의 평면구성은 H자형의 평면으로서 몸채는 4간 전후퇴집이며 동서쪽 날개채는 각각 정면 1간, 측면 4간으로 전후면 각각 몸채보다 1간씩 더 내밀었다. 간살이는 서쪽 날개채 앞 3칸에 부엌을 두고 뒷 1칸에 정지방을 두었다. 몸체는 서쪽에 2간의 큰방이 있고 그다음에 2×2칸 규모의 대청이 있다. 동 족 날개채는 맨 앞칸에 1간의 공루를 두고 중가에 1간의 작은방을, 그 뒤로 1칸 의 마루방을 배치하였다. 공루아래는 광이며 부벽구조로 되어 있다. 주초는 덤벙 주초이고 기둥은 몸채 전면만 두리기둥을 놓고 나머지는 네모기둥을 놓았다. 장 혀받친 납도리집으로 보아지를 끼웠다. 지붕은 몸채나 날개부분 모두 합각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