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암 쌍계사지 석장생 - 영암 쌍계사지 석장생

by 넥스루비 2007. 8. 7.
전남 영암군 금정면 남송리 산 18-2

사찰의 입구에 세워진 인면형의 쌍계사지의 장생은 '당장군'과 '주장군'이라는 글자가 음각되어 있다. 상계사지는 영암군과 장흥군이 경계를 이루는 남송리 인곡 마을에 있으며 가지산의 보림사가 인접하고 있다. 현재 사지에는 당간지주와 선돌, 폐허가 된 건물 터 그리고 장생만이 남아 있다. 장생은 사지 입구에 4~500m 지점에 서 있으며 인곡 마을에서는 산길 숲속으로 약 2km의 거리다. 이 장생은 장방형 자연석 화강암을 깨지 않고 자연모습 그대로 살려 고기스럽게 조각한 수준높은 걸작품이다. 주장군은 테가 짧고 말아 올린듯한 중절모를 쓰고, 짧은 이마위로 곡선을 그은 출대같은 두개의 주름과 주름아래에서 누까지 두터 운 눈썹을 음각하였다. 그리고 황소 눈처럼 튀어난온 왕눈을 도드라지게 조각하였고 콧잔등은 세개의 작은 구슬을 연결하듯이 처리하였으며, 코부리는 펑퍼짐 한 빈대코를 만들었다. 입은 일곱개의 구슬이빨이고 턱은 힘을 주듯이 오무렸으며 다래 같은 수염을 배까니 늘어뜨렸다. 동쪽의 당장군은 테가 짧고 말아 올린 듯한 중절모를 쓰고 모자 테와 눈윗부분에 홈을 파 이마를 구분지승며 아래로 얕게 두개의 반원을 그린 주름을 표현하였다. 눈썹펴현은 하지 않고 툭 튀어나온 왕눈의 가장 자리에 두춤한 둥근테선을 둘렀다. 콧잔증에 작은 백호같은 구슬이 있으며 역시 펑퍼짐한 빈대코이다. 입은 꺽쇠를 아래로 걸쳐놓은 듯이 턱 전체 에 길게 선각하여 성난듯한 인상을 준다. 이들 장생의 연대는 쌍계사의 창건·중건 연혁과 연관하여 볼 때 13세기 말엽을 상한으로 일단 상정할 수 있겠다. 그러나 투박하면서도 해학이 넘치는 조각수법으로 미루어 나주 운흥사(1719)·불회사의 석장생과 같은 18세기초로 파악되는 우수한 신앙족가상으로 추정된다. 쌀계사의 석장생은 잡귀침입을 방지하고 성역 공간을 표시하는 금표적인 기능을 갖는 유물이며 불교가 민간신앙을 수용한 예증이라 하겠다.

댓글

최신글 전체

이미지
제목
글쓴이
등록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