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담양군 창평면 삼천리 366-1
맞담으로 형성된 마을의 골목길을 따라 들어가면 이 주택의 대문간에 이른다. 대문간은 3칸으로 중앙칸이 평대문으로 되어 있고 우측에 방이 1칸씩 구성되어 있다. 맞배지붕의 대문을 들어서면 각종 수목과 방지로 구성된 사랑마당이 있다. 이 집의 동북쪽에서 수로를 끌어들여 사랑마당의 동쪽에 연못을 만들었다. 사랑채 서쪽에 중문이 있으며 중문과 축을 맞춰 안채를 배치하였다. 중문 안채로 출입할 때 안채가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시선차단용 담을 ㄱ자형태로 계획하였다. 안마 당 서쪽에는 안채와 직각으로 광채를 배치하고 안채 동북쪽에는 3칸의 식료창고 를 두었다. 안마당과 사랑마당은 내담을 쌓아 구획하였다. 건립년대는 1933년으로 추정되는 집이다. 안채는 일자형 전후좌퇴집으로서 서쪽의 2칸재부터 5칸째까지는 후퇴에 다시 쪽 마루를 시설하였다. 평면의 간살이는 좌측으로부터 작은방, 대청 2칸이 있고 그 다음에 좌우 2칸이 큰방이며 뒤툇간은 좌우웃방으로 되어 있으며, 다음 칸은 부엌이다. 구조는 2고주 5량으로 납도리에 장혀를 받쳤으며 보 밑에는 보아지를 끼웠다. 주초는 네모꼴의 화강암 가공석이며 그 위에 네모기둥을 세웠다. 기당은 외벌대 죽 담이며 지붕은 합각이다. 사랑채는 일자형 4칸 겹집으로서 전퇴를 두고 좌측과 후면은 쪽마루를 시설했다. 평면의 간살이는 서쪽으로부터 상하로 각 1칸씩 연이어 6개의방이 있으며 맨 끝 칸은 상하 2칸의 대청을 배치하였다. 구조는 2고주반 7량으로 납도리에 장혀를 받쳤다. 주초는 네모꼴로서 화강암 가공석이고 네모기둥을 세웠다. 기단은 외벌 대 죽담이며 지붕은 합각이다. 광채는 일자형 5칸으로 북쪽 1칸만 마루를 깔았으며 나머지는 토상으로 되어 있다.
맞담으로 형성된 마을의 골목길을 따라 들어가면 이 주택의 대문간에 이른다. 대문간은 3칸으로 중앙칸이 평대문으로 되어 있고 우측에 방이 1칸씩 구성되어 있다. 맞배지붕의 대문을 들어서면 각종 수목과 방지로 구성된 사랑마당이 있다. 이 집의 동북쪽에서 수로를 끌어들여 사랑마당의 동쪽에 연못을 만들었다. 사랑채 서쪽에 중문이 있으며 중문과 축을 맞춰 안채를 배치하였다. 중문 안채로 출입할 때 안채가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시선차단용 담을 ㄱ자형태로 계획하였다. 안마 당 서쪽에는 안채와 직각으로 광채를 배치하고 안채 동북쪽에는 3칸의 식료창고 를 두었다. 안마당과 사랑마당은 내담을 쌓아 구획하였다. 건립년대는 1933년으로 추정되는 집이다. 안채는 일자형 전후좌퇴집으로서 서쪽의 2칸재부터 5칸째까지는 후퇴에 다시 쪽 마루를 시설하였다. 평면의 간살이는 좌측으로부터 작은방, 대청 2칸이 있고 그 다음에 좌우 2칸이 큰방이며 뒤툇간은 좌우웃방으로 되어 있으며, 다음 칸은 부엌이다. 구조는 2고주 5량으로 납도리에 장혀를 받쳤으며 보 밑에는 보아지를 끼웠다. 주초는 네모꼴의 화강암 가공석이며 그 위에 네모기둥을 세웠다. 기당은 외벌대 죽 담이며 지붕은 합각이다. 사랑채는 일자형 4칸 겹집으로서 전퇴를 두고 좌측과 후면은 쪽마루를 시설했다. 평면의 간살이는 서쪽으로부터 상하로 각 1칸씩 연이어 6개의방이 있으며 맨 끝 칸은 상하 2칸의 대청을 배치하였다. 구조는 2고주반 7량으로 납도리에 장혀를 받쳤다. 주초는 네모꼴로서 화강암 가공석이고 네모기둥을 세웠다. 기단은 외벌 대 죽담이며 지붕은 합각이다. 광채는 일자형 5칸으로 북쪽 1칸만 마루를 깔았으며 나머지는 토상으로 되어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