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담양 채상 - 담양 채상

by 넥스루비 2007. 8. 7.
전남 담양군 담양읍 금월리

채상이란 나무를 얇고 가늘게 쪼개어 빨강, 노랑, 파랑의 색깔을 채색하여 짜 만든 상자를 말한다. 이 상자는 '대자''거스름''보통''피자''태웅' 등의 종류가 있고 또 삼합, 오합, 칠합 등이 있는데 용도는 처녀의 혼수감을 담거나 여인의 반지그릇, 또는 옛 선비들의 궁중야근 때 입을 옷을 담아 가는데 이용되었을 뿐 아니라 나라의 임금이 승서할 때 서울로 봉물을 담아 보내는 데에도 사용되었다고 한다. 이 채상에 대한 옛 기록을 보면 이규경의 『임원16지』 채상항에 「호남 사람은 대나무를 종이처럼 쪼개고, 청색과 홍색 등 여러 색으로 물을 들여 상자를 짠다(호남인삭죽여지 조염이청홍제색 직피의상」라 써있고 또 죽점침항에는 「 대나무 껍질을 이용해 채죽 돗자리를 만들고, 옷상자는 호남사람이 만든 것이 좋다(용채죽점속호피점용이조 의상자호남담양선위지)」라 기록되어 있다. 이를 보면 담양의 채죽 예로부터 유명하였음을 알 수가 있다. 채상의 기능보유자인 김동련 옹은 부친으로부터 담양 지방의 전통적인 채상기법을 배워 익혀서 오늘날까지 꾸준히 가업을 이어오고 있다. 작업과정을 대략 들어보면 대썰기, 걸목치기, 조름썰기, 입으로 물고 엷게 뜨기, 물에 담근 뒤에 무릎 위에 대고 훑기, 대쪽염색, 대쪽절기, 속내 공뜨기, 속내 공절기, 수장대 만들기, 속내 공넣고 테매기, 비단으로 테두리 바르기, 창호지로 채상안 바르기 등이 다. 종이처럼 얇게 훑어진 대올은 염색하는 방법은 솥에 물을 4리터 정도 붓고 뜨겁게 끓여서 염료 75g정도를 타고 80도를 끊인 다 음 대쪽을 다발로 묶어서 염색한다. 이렇게 염색한 대올을 무늬를 놓아가면서 정성스럽게 엮어 '겉상자'를 만들고, 이어서 내피로 엮은 내공상(속대상자)을 만들어 바쳐 꾸미고 다시 내면에 종이를 바른다. 겉상자와 속상자는 테를 둘러 고정시켜 비단을 발 라 감싸게 하고 도 귀가 바스러지지 않게 귀에도 비단을 바른다. 채상은 이같이 온갖 정성을 다들이기 때문에 정다산의 『목민심서』에 보이는 바와 같이 무늬와 촉감이 비단을 바른 듯 고운 것이다. 기능보유자는 김동련 옹이 사망하고 1987년 1월에 서한규 씨가 새로 지정되었다.

댓글

최신글 전체

이미지
제목
글쓴이
등록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