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강술래 놀이는 전라남도의 남해안 일대와 도서지방에 널리 분포 전승되고 있는 한국의 대표적인 부녀자 놀이자, 8월 한가위 세시풍속 놀이의 하나이다. 정월 대보름에 행해지기도 한다. 한가위 대 보름달 달 밝은 밤에 마을의 처녀들과 아낙네들이 새 옷으로 단장하고 손과 손을 맞잡고 원무하기도 한고 또 여러 가지 놀이를 번갈아 가면서 밤이 지새도록 노는 모습은 전라도 특유의 풍류와 멋의 표상이다.
그런데 이 강강술래 놀이는 임란 때 충무공 이장군이 창안했다는 설과 고대 마한 때부터 비롯되었다는 설, 고대의 수확제의의 오 신행사 놀이에서 연원되었다는 등 여러 설이 있다. 충무공이 창안했다는 설은 전라남도 남해안 일대에 전해 오고 있는 전설에 근거를 둔 것인데 이는 이순신 장군이 해남의 옥매산 진도의 만금산, 목포의 유달산 노적봉 등을 마람으로 감아서 군량미 노적으로 보이게 하고 또 인근 부녀자들을 동원 남장시켜 병력이 많음을 위장 과시하기 위해서 손과 손을 마주잡고 원무토 록 했더니 이를 본 왜군이 질겁을 해서 달아났다는 데서 비롯된 것이다.
또 고대 기원설은 부여의 영고, 고구려의 동맹, 예의 무 천, 한의 하종 후와 농공필 후에 제사신하는 고대제의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이고 수확제의의 오신행사에 비롯되었다는 설은 농경 사회에서 재생력을 간직하고 있고 생산의 신으로 표상되는 여성들이 풍요와 재생을 의미하는 만월을 본따서 풍년을 구가하는 오 신행사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 충무공이 강강술래 놀이를 전략으로 활용했을 지는 몰라도 창안해냈다는 것은 믿을 수 없고, 차라리 후자의 경우가 보다 타당성을 지니고 있다 하겠다. 그것은 강강술래 놀이가 달 밝은 한가윗날과 대보 름날 밤에 세시풍속의 하나로 행해지고 있다는 것은 그 바탕에 민간 신앙적인 요소가 깃들어 있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강강술래를 놀이별로 구분해 보면 다음과 같다. ①늦은강강술래 ②중강강술래 ③잦은강강술래 ④남생아 놀아라 ⑤고사리 꺾자 ⑥청어 엮기 ⑦청어 풀기 ⑧지와밟기 ⑨덕석몰이 ⑩덕석풀기 ⑪쥔쥐새끼 놀이 ⑫문열어라 ⑬가마등 ⑭도굿대당기 기 이상의 놀이 이외에도 수건찾기, 품고동, 봉사놀이 등이 있다.
⊙ 예능보유자 박용순(朴龍順, 58)
후보(악사) 김종심(金宗心, 50)
조 교 김국자(金菊子, 56)
조 교 박부덕(朴富德, 54)
조 교 박종숙(朴鍾淑, 4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