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화엄사 원통전앞 사자탑 - 화엄사 원통전앞 사자탑

by 넥스루비 2007. 8. 7.
전남 구례군 마산면 황전리

상층 기단 구성에서 4사자를 배치한 것은 이곳 유명한 4사자 3층석탑의 양식과 함께 이례적인 양식이다. 이중기단위에 탑신을 얹었고 지대석 위에 구성된 하층기단은 방형 불단의 형식으로 하대석 상면에 형식적인 각형 1단의 몰딩이 있어 중석을 받쳤다. 중석은 우주나 탱주가 없는 무문석재로 구성했으며 갑석은 하대석에서와 같이 각형 1단의 부연이 있을 뿐이고 그 위에 1매 판석을 얹어 상층의 사자를 받게 했다. 상층의 기단에 해당하는 부분은 이 탑에서 가장 특징적인 부분으로 사주 대신 사구의 사자를 배치하고 밑에는 부연석, 위에는 앙연석을 조출하였다. 또 갑석에 해당하는 석재는 편평한 1매 판석으로 위에 연화가 주회되어 탑신을 받았다. 탑신은 방주형으로 석탑의 탑신으로 본다면 이례적으로 높은 편이며 각면에 방애를 돌린 속에 신장상 1구씩을 조각하였다. 탑신 위에도 1매 판석이 놓였는데 앙연이 새겨졌으며 그 위에는 반구형의 돌기가 있다. 이 탑은 조형에 있어 이형을 보이고 있으며 4사자를 이용한 선례를 따르고 있으나 역시 조각수법은 선례에 미치지 못하여 조성 년대는 4사자 3층석탑(국보 제35호)보다 훨씬 뒤인 9세기경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한편 이러한 탑형의 건조물을 일명 노주(露柱)라고 부르고 있거니 와 이것을 불 사리를 봉치 한 불탑으로 보아야 할 것인지 혹은 다른 뜻의 신앙적 대상물인지는 확정짓지 못하고 있다

댓글

최신글 전체

이미지
제목
글쓴이
등록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