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진도 금골산 5층석탑 - 진도 금골산 5층석탑

by 넥스루비 2007. 8. 7.
전남 진도군 군내면 둔전리

옛날 고려 시대부터 이 곳에 해월사라는 사찰이 있었다고 전해지고 있다. 이 석탑 역시 그 무렵의 조성으로 추정하고 있다. 특히 이 석탑의 초층 탑신부의 구성 형태는 정읍 은선리 3층 석탑과 일맥상통하여 백제 양식의 남하를 입증하였다고 볼 수 있다. 기단부 지태석이 매몰되어 구성을 알 수 없으나 4매 판석으로 면 석을 짜고 각면을 2구로 구분하여 중앙에 탱주를 세웠고 네 모서 리 기둥을 마련한 단층 기단이며 갑석은 하단의 부연과 상면 중앙 의 일반형인 각호형 몰딩이 생략된 채 다른 아무 조식을 볼 수가 없다. 따라서 갑석이 두껍고 밋밋하며 경사를 주지 않아 수평인 점은 정읍 은선리 3층 석탑과 다름이 없다. 탑신부의 초층 옥신은 갑자기 장신으로 경미한 체감을 보이면서 기형적으로 길게 올라가 고준해 보인다. 또한 각면에 별 조출이 없이 네 모서리 기둥을 나타냈다. 옥개석은 4층까지는 층급 받침 이 5단인데 5층에서만 4단으로 줄었다. 역시 옥개석은 장광하게 변하여 약간 이형적인 느낌이고 운각에서 가벼운 반운을 보였다. 상륜부는 반구형의 석재를 올려놓았을 뿐 다른 부재가 없는데 이 석재는 후보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 5층 석탑은 기단부 및 초층 옥신이 지나치게 길고 각층 옥개석 이 장광하게 보여 탑의 조형미를 갖지 못한 강 없지 않다. 그러나 한국 육지의 최남단인 이 곳 섬에 이르기까지 백제 양식의 유형이 전파되었다는 사실은 불교문화의 발달사적 견지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예라고 볼 수 있겠다. 조성 년대는 고려 하대로 추정된다.

댓글

최신글 전체

이미지
제목
글쓴이
등록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