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해남군 해남읍 연동리
조선 광해군 ~현종 연간에 활약한 정치가이며 학자인 고산 윤선도의 수적(手蹟)과 그에 관계되는 문헌의 일괄이다. 고산의 수적으로는 금쇄동집고, 금쇄동기, 산중신곡이 있고 관계문서로는 은사첩인 윤고산선생출계례조입안(尹孤山先生出系禮曹立案)이 있다.
1. 금쇄동집고 : 윤선도가 금쇄동에서 은거생활을 하면서 도원명, 이백, 백거이, 위응물 등 중국시인들의 시구를 모아 자필로 쓴 것이다 .
2. 금쇄동기 : 금쇄동에 은거하면서 지은 한시를 모은 것인데 역시 자필본이다.
3. 산중신곡 : 윤고산이 보길도, 금쇄동 등지에 기거하면서 불우한 자신으 내용을 담은 단가 20편을 모은 것이다.
4. 은사첩 : 인조와 보림대군(효종)이 윤선도가에 미, 포, 잡물 등 을 사급한 사송장(賜送狀)을 모은 것이다.
5. 례조입안 : 만력30년(선조35년 1602) 유월 초이틀에 윤유심이 제2자인 선도를 운유심의 형인 유기에게 양자로 들일 것을 예조에 게 허가한 결재문서다. 이는 조선시대 가족제도 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다.
조선 광해군 ~현종 연간에 활약한 정치가이며 학자인 고산 윤선도의 수적(手蹟)과 그에 관계되는 문헌의 일괄이다. 고산의 수적으로는 금쇄동집고, 금쇄동기, 산중신곡이 있고 관계문서로는 은사첩인 윤고산선생출계례조입안(尹孤山先生出系禮曹立案)이 있다.
1. 금쇄동집고 : 윤선도가 금쇄동에서 은거생활을 하면서 도원명, 이백, 백거이, 위응물 등 중국시인들의 시구를 모아 자필로 쓴 것이다 .
2. 금쇄동기 : 금쇄동에 은거하면서 지은 한시를 모은 것인데 역시 자필본이다.
3. 산중신곡 : 윤고산이 보길도, 금쇄동 등지에 기거하면서 불우한 자신으 내용을 담은 단가 20편을 모은 것이다.
4. 은사첩 : 인조와 보림대군(효종)이 윤선도가에 미, 포, 잡물 등 을 사급한 사송장(賜送狀)을 모은 것이다.
5. 례조입안 : 만력30년(선조35년 1602) 유월 초이틀에 윤유심이 제2자인 선도를 운유심의 형인 유기에게 양자로 들일 것을 예조에 게 허가한 결재문서다. 이는 조선시대 가족제도 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