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화순군 이양면 증리
통일신라 시대의 철감선사 도윤의 탑비. 전체높이 1.4m.
현재 비신은 없어지고 귀부와 이수만 남아 있으나 이수와 귀부 전체적으로 조형이 뛰어난 조각기법으로 당대를 대표하는 우수작이다.
귀부의 눈은 사각이 지게, 코는 하늘을 향하여, 입은 귀밑까지 찢어지도록, 귀는 머리 뒤까지 닿도록 과장 표현하면서 발톱은 굵고 억세게 나타내었다.
특히 오른쪽 앞발만 뒤집어 들게 하여 남은 발톱은 땅이 파이도록 육중하게 발톱으로 내리찍게 하였다.
귀갑은 얄팍하게, 귀갑문은 크지 않게, 배 두께도 비례에 맞도록 날씬하게 목도 부드러운 곡선으로 처리하여 날렵하게 보이도록 이수 상면 양쪽 끝과 중앙에 주광형(珠光形)의 귀꽃 세 개 세워 더욱 비상하는 모습 연출하였다.(현재 오른쪽 귀꽃 하나 없어짐)
이수 전면에 3마리, 후면에 2마리의 반응을 조각하였다.
통일신라 시대의 철감선사 도윤의 탑비. 전체높이 1.4m.
현재 비신은 없어지고 귀부와 이수만 남아 있으나 이수와 귀부 전체적으로 조형이 뛰어난 조각기법으로 당대를 대표하는 우수작이다.
귀부의 눈은 사각이 지게, 코는 하늘을 향하여, 입은 귀밑까지 찢어지도록, 귀는 머리 뒤까지 닿도록 과장 표현하면서 발톱은 굵고 억세게 나타내었다.
특히 오른쪽 앞발만 뒤집어 들게 하여 남은 발톱은 땅이 파이도록 육중하게 발톱으로 내리찍게 하였다.
귀갑은 얄팍하게, 귀갑문은 크지 않게, 배 두께도 비례에 맞도록 날씬하게 목도 부드러운 곡선으로 처리하여 날렵하게 보이도록 이수 상면 양쪽 끝과 중앙에 주광형(珠光形)의 귀꽃 세 개 세워 더욱 비상하는 모습 연출하였다.(현재 오른쪽 귀꽃 하나 없어짐)
이수 전면에 3마리, 후면에 2마리의 반응을 조각하였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