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순천시 송광면 신평리 12
고려 속장의 하나로 공괄(公括)이 지은 것을 지온이 다시 추가 보충한 것이 책머리에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촉군사문공괄술동경천청사사자사문지온후중산보(蜀郡沙門公括述東京天淸寺賜紫沙門志蘊後重刪補)」또 권 제4의 끝에는 다음의 간기가 있다. 「수창사년무인세고려국대흥왕사봉선조조(壽昌四年戊寅歲高麗國大興王寺奉宣雕造)」「장사랑상의사장동정신왕정서(將仕郞尙衣査長同正臣王鼎書)」권 제5에는「수창사년무인세고려국대흥왕사봉선조조(壽昌四年戊寅歲高麗國大興王寺奉宣雕造)」「장사랑상의사장동정신왕정서(將仕郞尙衣直長同正臣李衍書)」권 제6에는 「수창사년무인세고려국대흥왕사봉선조조(壽昌四年戊寅歲高麗國大興王寺奉宣雕造)」「장사랑사재주부동정신이표서(將仕郞司宰主簿同正臣李彪書)」「강화엄경흥왕사통오대사사자사문신상원교감(講華嚴經興王寺通奧大師賜紫沙門臣尙源校勘)」「강화엄경불일사자응대사사자사문융관교감(講華嚴經佛日寺慈應大師賜紫沙門融觀校勘)」「강화엄경불일사혜소대사사자사문신자현교감(講華嚴經佛日寺慧炤大師賜紫沙門臣滋顯校勘)」「천순오년신사세조선국간경도감봉교중수(天順五年辛巳歲朝鮮國刊經都監奉敎重修)」 이상에서 본바와 같이 각권마다 쓴 사람의 이름이 기록되었고 더욱 중요한 것은 세조 때 간경도감에서 중간하였다는 기록이다. 이 것을 송광사에 보존되고 있는 여러 고려속장이 모두 간경도감의 복간임을 확증케 한다.
고려 속장의 하나로 공괄(公括)이 지은 것을 지온이 다시 추가 보충한 것이 책머리에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촉군사문공괄술동경천청사사자사문지온후중산보(蜀郡沙門公括述東京天淸寺賜紫沙門志蘊後重刪補)」또 권 제4의 끝에는 다음의 간기가 있다. 「수창사년무인세고려국대흥왕사봉선조조(壽昌四年戊寅歲高麗國大興王寺奉宣雕造)」「장사랑상의사장동정신왕정서(將仕郞尙衣査長同正臣王鼎書)」권 제5에는「수창사년무인세고려국대흥왕사봉선조조(壽昌四年戊寅歲高麗國大興王寺奉宣雕造)」「장사랑상의사장동정신왕정서(將仕郞尙衣直長同正臣李衍書)」권 제6에는 「수창사년무인세고려국대흥왕사봉선조조(壽昌四年戊寅歲高麗國大興王寺奉宣雕造)」「장사랑사재주부동정신이표서(將仕郞司宰主簿同正臣李彪書)」「강화엄경흥왕사통오대사사자사문신상원교감(講華嚴經興王寺通奧大師賜紫沙門臣尙源校勘)」「강화엄경불일사자응대사사자사문융관교감(講華嚴經佛日寺慈應大師賜紫沙門融觀校勘)」「강화엄경불일사혜소대사사자사문신자현교감(講華嚴經佛日寺慧炤大師賜紫沙門臣滋顯校勘)」「천순오년신사세조선국간경도감봉교중수(天順五年辛巳歲朝鮮國刊經都監奉敎重修)」 이상에서 본바와 같이 각권마다 쓴 사람의 이름이 기록되었고 더욱 중요한 것은 세조 때 간경도감에서 중간하였다는 기록이다. 이 것을 송광사에 보존되고 있는 여러 고려속장이 모두 간경도감의 복간임을 확증케 한다.
댓글